15세 이상 인구 10명중 3명이 무선호출기 등 각종 통신기기를 갖고 있으며 사회안전부문에서는경제분야에 대한 불안감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6일 지난 4월 전국 3만4천가구(만15세 이상 8만1천명, 만6세 이상 9만4천명)를 대상으로 실시한'97년 상반기 정보와 통신, 안전부문 사회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분야별로 자세히 알아본다.
▲통신기기 보유= 전체의 29.9%%가 갖고 있으며 종류별로는 무선호출기(삐삐) 27.7%%, 이동전화 7.2%%, 발신전용전화인 시티폰(0.2%%) 등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보유 및 교육= 만 6세이상 인구중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은 39.9%%에 달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배우고 싶은 분야로는 PC통신 또는 인터넷이 26.3%%로 가장 많았고 문서작성25.2%%, 게임 및 오락 13.1%%, 그래픽 디자인 1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만 6세 이상 인구중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10.5%%이고 성별로는 남자가 15.5%%, 여자 5.6%%로 나타났다.
▲컴퓨터 사용시간= 평소 1주일간 사용시간은 평균 5.94시간, 하루평균 51분으로 조사됐다. 사용시간 분포를 보면 7시간 미만 68.5%%, 7~14시간 22.4%%, 14~21시간 6.4%%, 21~28시간 1.4%%로나타났다.
▲PC통신 및 인터넷= PC사용자중 가입한 PC통신 및 인터넷에 가입한 사람은 25.7%%이며 이중PC통신만 사용하는 사람은 15.1%%, 인터넷만 사용하는 사람은 0.7%%, 둘다 사용하는 사람은5.4%%로 나타났다. 1주일 평균 PC통신 및 인터넷 사용시간은 4.18시간이다.
▲통신비용= 한달평균 전화비용은 1만~2만원 45.4%%, 2만~5만원 34.2%%, 1만원미만 16.2%%로조사됐다. 핸드폰 또는 차량용 이동전화의 한달 평균비용을 보면 5만~10만원이 46.5%%로 가장많고 2만~5만원 44.5%%, 10만원 이상 7.4%% 등이다.
▲범죄피해= 96년 한해동안 소매치기,절도,폭행,상해,강도 등 주요범죄의 피해를 당한 가구는 전체의 8.9%%로 91년에 비해 2.4%%포인트 줄어들었다. 범죄유형별로는소매치기 4.2%%, 절도3.6%%, 폭행·상해 1.1%%, 강간 0.6%%로 나타났다. 96년 1천가구당주요범죄 피해건수는 91년에비해 41.6건 감소한 1백25.4건이다.
▲범죄 미신고율= 96년 한해동안 주요범죄 피해건수중 신고하지 않은 범죄가 무려 76.2%%를 차지했다. 이는 91년 81.5%%보다 5.3%%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시민들이 경찰에 신고해도 제대로사건조사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신고를 기피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사회안전= 가장 불안한 분야는 경제로 전체응답자의 84.2%%가 불안하다고 대답했다. 이어 환경 65.1%%, 건축 및 건설 64.7%%, 교통 63.8%%, 치안 50.2%%, 식품 및 위생 46.2%%, 안보42.4%% 순으로 나타났다.
▲전화폭력= 96년 한해동안 장난, 공갈, 협박전화나 음란성 전화를 받아본 적이 있는지를 조사한결과 23.8%%나 전화폭력을 당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