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임시국회에서 정년조정, 명예퇴직 유도, 직권면직 도입 등 강력한 공무원 감축조치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공직사회가 크게 술렁이며 복지부동 분위기가 다시 감돌고 있다.
특히 고령층 공무원들은 정년조정이 자신들의 조기퇴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위기감을 느끼며 인위적 인원감축에 불만을 내비치고 있다.
경북도의 경우 공무원 정원의 10%% 감축설이 나오자 도내 전체 2만4천8백여명의공무원 가운데 2천5백명 안팎이 감축대상에 걸린다며 크게 긴장하는 분위기이다.경북도의 관계자는 "현재 정부조직개편심의위 방안대로 5급이상 61세, 6급이하 58세인 공무원 정년을 1~3년 단축시킬 경우 도내에서 이에 따라 퇴직해야할 대상은 1천3백~1천4백여명에 달할 것"이라며 "벌써부터 상당한 동요가 일고 있다"고 말했다.이와 함께 △전과자 등 부적격 공무원 퇴직 △명예퇴직 확대 △직권면직 도입 등의감축방법이 알려지면서 그동안 징계를 받았거나 조직개편 가능성이 높은 부서직원들은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는 것이다.
김천시는 "올해내로 정년퇴직자가 80여명 발생해 정부의 감원추진과 무관하다"며직원들의 동요를 막고있으나 '20명선 감원계획 수립설'이 계속 번지는 등 직원들의불안심리가 증폭되고 있다.
안동시 모 과장은 "정부의 감축안이 정년보장이라는 틀을 깨는 파격적인 것이어서직원들 특히 간부들이 상당히 불안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환경시설운영과 관련해 감사원 감사를 받은 모 시에서는 해당 과장이 감사원지적사항에 대해 "전혀 보고받은 바 없다"고 부하직원들에게 책임을 미루며 몸조심으로 일관하는 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
〈金成奎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