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과 달리 이에 소극적이었던 국민회의도 당 지도부까지 동원, 야당의원들에 대해 문호개방을 선언하기에 이르는 등 갈수록 적극적인 자세로 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국민회의는 22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당무회의를 갖고 이같은 입장을 거듭 확인한뒤 소속의원들을 통해 야당의원들에 대한 설득전을 본격화해 나가기로 했다.
하루전 조세형(趙世衡)총재권한대행은 "한나라당 의원들중 정치행로를 달리 하겠다는 분들이 있다면 이들에게 문호를 개방하도록 당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야당의원 영입문제와 관련된 당 차원의 입장 표명으론 가장 적극적인 것으로 평가됐다.조대행은 덧붙여 "빠른 시일안에 성과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조기 정계개편쪽으로 입장을 전환했으며, 영입문제에 대해 이미 상당한 진전을 보고 있음을 내비친 셈이다.
여권은 또 같은날 국민회의 한화갑(韓和甲)총무대행, 자민련 구천서(具天書)총무, 청와대 문희상(文喜相)정무수석, 총리실 조건호(趙健鎬)비서실장 등이 참석한 원내대책회의를 갖고 조기 영입이불가피하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이같이 입장을 정리하게 된 이면에는 김종필(金鍾泌)총리서리의 국회 인준은 물론 내달의 후반기국회 원 구성과 관련, 국회의장 및 상임위원장 인선 등을 둘러싸고 예상되는 야당측 반발을 의식,이를 차단해야 한다는 절박감이 깔려있는 것이다. 특히 국민회의로선 자민련측이 최기선(崔箕善)인천시장 입당을 계기로 수도권에 대한 영입을 본격화하고 있어 이에대한 견제심리도 작용했을법하다.
그러나 이같은 조기 영입행보는 6월 지방선거이후의 본격적인 정계개편에 앞선 정지작업적인 성격이 짙다. 즉 개별적인 영입을 통해 한나라당의 과반수 의석을 무너뜨리는데 주력한뒤 지방선거후 여대야소로 정치권 구도를 뒤집는 수순을 취할 것이란 분석이다. 이같은 구도는 구체적으로탈당 등에 따른 한나라당의 분열에 편승, 원내교섭단체를 갖는 4당체제를 유도하면서 대연정을모색하는 쪽으로 나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권내에선 최소한 한나라당 의원 20명정도는 영입이 가능하다고 장담하는 분위기다. 대구.경북의 경우에도 장영철, 이의익의원 등이 입당 제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한나라당은 조세형(趙世衡)국민회의총재권한대행의'문호개방'발언을 일종의 선전포고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특히 여권이 그동안 숨겨온 속셈을 드러낸 것으로 야당을 분열시켜 집단영입을 추진하려던 계획이 차질을 빚자 개별의원들에게 유혹의 손길을 뻗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한나라당은 22일 실제로 여권 접촉설의 주인공이 무려 20여명에 이르고 이번 주내로 이탈이 예상되는 인사도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과 충청권에서 5~6명이나 된다는 첩보를 접하고 당황하는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TK출신들도 광범위하게 접촉의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으나 1차명단에서는 빠져 있다.여권에서 거론중인 명단에는 장영철(張永喆), 김일윤(金一潤)의원과 박종근(朴鍾根), 안택수(安澤秀), 이의익(李義翊)의원 등 자민련출신이 들어 있다. 하지만 이들은 하나같이 "한마디로 아니다"라고 일축하거나 "지금 와서 다시 간다는 것은 명분상으로도 전혀 맞지 않다"며 탈당설을 여권에서 자의적으로 흘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한편 한나라당도 극소수의 이탈은 불가피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여권의 '손길'을 조기에 차단, 지방선거 이전에 여소야대가 여대야소로 바뀌는 사태는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5월말로 예정된 국회의장단과 상임위원장단 개편 등 원구성에서 주도권을 여권에 넘겨주는'불상사'도예상되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이 22일 오전 긴급총재단회의를 열어 선택한 작전은 자연히 강경 맞대응이었다. 당력을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종필(金鍾泌)총리서리의 비자금의혹 등 맞불작전도 불사한다는 방침도정했다. 신상우(辛相佑)부총재가 위원장인 야당파괴저지비상대책위도 공식활동에 들어갔다. 위원들도 김문수(金文洙), 이재오(李在五), 이신범(李信範)의원 등 맹장들을 포진시켰다.한나라당은 그러나 선거법개정협상 문제는 여론의 표적이 되는 점을 고려, 분리처리 쪽으로 가닥을 잡아놓은 상태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다른 모든 문제는 철저하게 힘의 논리로 의지를 관철시킨다는 방침을 정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