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기업들이 대규모 유상증자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지분 확보에 나서면서 최대주주 지분율이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1일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7월말 현재 7백62개 상장사의 최대주주(특수관계인 포함)평균 지분율은 35.2%로, 작년말의 33.3%에 비해 1.9% 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보유 주식수로는 작년말 21억5천2백만주에서 올 7월말 35억2백만주로 62.7% 증가했다.기업별로는 SK그룹이 SK증권 살리기를 공식 선언한 이후 최종현 회장과 계열사들이 이 회사 주식을 대거 매집, 최대주주 지분율이 18.44%에서 89.41%로 70.97% 포인트 높아졌다.또 대상도 미원과의 합병에 따라 최대주주(임대홍씨) 지분율이 25.09%에서 84.50%로 높아졌으며 동국전자(백영기 비상임이사)는 24.47%에서 82.28%로, 진흥기업(박영준 회장)은22.31%에서 76.35%로 지분율이 확대됐다.
울산종금(12.96%→62.54%), 한길종금(37.68%→77.40%), LG종금(27.43%→57.16%)등은 유상증자에 따른 실권주 인수로 최대주주 지분율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중앙건설, KNC, 삼화전기, 대유리젠트증권, 우성식품 등은 외자 유치 또는 자금조달을위한 지분 매각으로 최대주주 지분율이 40∼60%에서 20∼30%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