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부총재인선 안팎

한나라당의 부총재 인선을 두고 철저한 대구·경북 '물먹이기'라는 지적이 많다. 비단 지역출신인사들 뿐만 아니라 언론들마저 이구동성으로 계파실세 불참과 함께 대구·경북 배제를 최대특징으로 꼽았다.

당이 발표한 선수와 활동성, 개인의 능력, 원내우선 등의 기준에도 불구하고 인선 결과로 봐서는대구·경북이 홀대받고 배제됐다고 밖에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부총재 인선발표 직후 지역출신의 한 당직자는 "DJ정부 각료인선 보다 더 못한 대우를 받았다"며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지역의원들 사이에서는 "한나라당의 최대 지지기반은 바로 대구·경북"이라는 지적과 함께 "동향(同鄕)사람도 아닌 이회창(李會昌)총재에 대해 압도적 지지를 보내 준 것에 대한 보답치고는 너무심했다"는 불만이 심심찮게 나왔다.

"반YS 반DJ감정의 표출 대상으로 이총재를 지지했을 뿐인데도 마치 자신에 대한 직접적인 지지로 착각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는 냉소도 적지 않았다.

두 자리는 어렵다 하더라도 최소한 한 자리는 지역출신 중진의원에게 할애될 것을 의심치 않았던데 따른 일종의 배신감이었다.

물론 대구·경북 출신으로 박근혜(朴槿惠)의원 한 사람은 총재단에 포함됐다. 이총재는 전국위원회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박의원 기용에 대해 여성계와 대구·경북의 대표성까지 포함한 인선이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당내외 어디에서도 이 설명에 동의하는 기류는 눈에 띠지 않는다.

당기여도와 '상품성'측면에서 박부총재의 기용은 당연한 것인데 여기에 지역대표성까지 부여하는것은 견강부회라는 얘기.

한편 이날 인선은 이총재가 김윤환(金潤煥)전부총재의 '비협조'에 대한 불쾌감을 대구·경북 홀대로 응대했다는 분석도 있었다. 김전부총재의 비협조 때문에 구상이 헝클어진 이총재의 '오기'가발동한 결과라는 것이다.

또한 한나라당이 "중산층과 소외계층을 대변하는 정당"을 기치로 내걸었지만 정작 보수안정 희구세력으로 대표되는 대구·경북의 지지기반은 고려하지 않은 결과라는 지적도 있었다.김윤환전부총재와 사실상 결별하고 대구·경북을 홀대하는 대신 서울·수도권출신 초.재선의원들을 중심으로 하는 개혁성향 인사들로 한나라당의 신주류를 형성하려는 구상의 일단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李東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