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제 공세를 펼치고 있는 자민련 내부에 타협론이 점차 세를 얻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당내에서는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내각제 문제는 2,3개월 후 알게 될 것"이라는 발언 이후 내각제 공세의 수위가 무뎌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내각제 문제에 대한 타협론은 물론 당내 비주류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비주류 측은 속내를 그대로 내비쳤다.
최근 소속의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각종 여론조사에서 비주류측은 10명중 3명정도 만이 '내각제개헌약속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국민회의와 결별해야 한다'고 밝혔을 뿐 나머지 7명정도는 결별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말 내각제 개헌을 고집하기 보다 국민회의 측과 타협을 하거나결별여부를 유보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세를 이룬 것이다.
특히 대구· 경북쪽 원내외 지구당 위원장들 사이에 이같은 분위기가 주를 이뤘다. 지역 위원장들은 "내각제 개헌약속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밝히면서도 대부분이 결별 여부는 "그때 가서보자"는 식으로 유보입장을 밝혔다. 대구의 한 원외위원장은 "내각제 문제에 대해서는 정치도의상신의를 지켜야 하지만 자민련도 마구 고집을 부려서는 안된다"며 "결별여부를 놓고 흑백을 가리는 식의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같은 분위기는 일반국민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그대로 드러나 자민련 측을 당혹스럽게 했다. 최근 당 정세분석위에서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결별을 주장한 의견이 극소수에 그쳤기 때문이다. '대통령이 연말까지 내각제 개헌을 하지 않을 경우 국민회의와 결별해야 한다'고 대답한 경우가 고작 13.8%에 그친데다 '내각제를 포기하라'는 의견도 37.4%나 나온 것이다. 이런 결과에 대해 자민련측은 조사방식 등에문제를 삼기도 했지만 일단 타협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