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가 180만명에 육박하고 있는 가운데 취업자도 일용직과 주당 근로시간이 18시간 미만인 불완전취업자는 늘어나는 반면 상용직은 감소하는 등 고용형태의 불안정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의 취업자수도 계속 줄어드는 등 제조업 공동화현상도 가시화되고 있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근로계약기간이 1년 미만인 일용직근로자수는 지난 1월에 170만8천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8.0%, 2월들어서는 173만9천명으로 19.4%가 각각 증가했다. 그러나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직은 1월 605만9천명으로 11.7%, 2월 600만5천명으로 10.7%가 각각 줄었다.
이에 따라 임금근로자에서 일용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월 12.7%, 2월 11.9%에서 올해는 14.5%와 14.9%로 각각 높아진데 비해 상용근로자는 54.9%와 55.1%에서 올해는 51.3%로 각각 낮아졌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해부터 계속돼 일용직은 1분기 153만7천명, 2분기 168만2천명, 3분기 177만4천명, 4분기 195만8천명으로 계속 증가했으나 상용직은 같은 기간중 674만2천명, 650만7천명, 631만6천명, 619만5천명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또 주당 취업시간이 18시간 미만인 취업자수는 지난해 1월 43만8천명에서 올해는 69만3천명으로 무려 58.2%나 늘었고 2월에도 65만3천명으로 48.1%의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1월에 8.2%, 2월에 7.1%가 각각 감소, 취업형태가 파트타임 위주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