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이 정치개혁 합의안 중 선거제도 등에 대해 전면 재검토키로 했다. 국민회의 김영배총재권한대행과 자민련 박태준총재는 7일 양당 8인 정치개혁특위가 하루전 발표했던 소선거구와 정당명부제 등을 골격으로 한 합의안에 대해 시민단체와 야당 등의 반발이 거센 점을 감안, 이같이 결정했다.
비난여론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도입에 특히 쏠려 있다. 특정 정당이 권역별 비례대표 총원 중 50%이상을 차지할 수 없도록 하고 비례대표와 지역구에 동시에 출마할 수 있도록 한 대목 등이다.
50% 규정은 유권자들의 의사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등의 측면에서 위헌시비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제도 도입을 주도해 온 국민회의는 상한선을 3분의 2로 했었으나 취약한 정당지지도를 의식한 자민련의 반발에 밀려 이같이 타협하게 됐다.
결국 양당 특위는 합의안 도출 시한을 4월말에서 지난 6일로 연기한데다 상반기 중 야당과 최종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방침 등에 조바심을 느낀 나머지 졸속으로 여권 안을 확정, 발표해 버렸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지역구와 비례대표 후보로 동시에 출마할 수 있게 한 규정은 중진 의원들의 기득권 유지에 악용될 수 있다는 비난이다. 특위 측에선 당세 취약지에 출마하는 후보들을 배려한다는 측면에서 도입키로 했다고 강변하고 있다.
이같은 재검토 움직임속에 중.대선거구와 정당명부제를 결합하는 식의 DJP간 대타협이 유력한 것으로 여권내에서 또 다시 거론되고 있다.
중.대선거구는 지난 3월부터 양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간헐적으로 제기돼 온 사안이다. 국민회의의 경우 전국정당화를 기하기에, 자민련의 경우 내각제 개헌을 위한 기반조성에 유리하다는 게 이점이다. 소선거구제론자인 김대중대통령이 이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인데다 김종필총리도 중.대선거구 도입을 전제한 정당명부제 수용 가능성을 시사해 왔다. 게다가 이에 강력 반발해 온 호남권과 충청권 등 양당의 주류측 의원들 일각에서도 최근 들어 변화의 조짐이 감지되고 있다.
물론 명부제를 어떤 수준에서 재조정, 이에 소극적인 자민련을 무마시키느냐가 관건이다. 권역별 50% 상한선에 대해서도 70%이내에서 재검토하려는 움직임이다. 그럼에도 지역구와 비례대표간 비율과 관련, 자민련은 당초 국민회의안인 1대 1에서 2대1~3대1로 하는 양보안을 이미 얻어낸 데서 엿보이듯 절충의 여지는 상존하고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명부제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여권 일각에선 현행 전국구를 권역별로 구분, 선출하는 수정안도 거론하고 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