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가 금융권의 긴급 수혈을 받아 연명해야할 정도로 자금난에 몰린 것은 과도한 단기부채를 안고 있는 기형적인 부채구조에 있다.
지난해말 현재 대우의 금융기관 총여신(대출.지급보증)은 59조8천728억원으로 이중 40%인 24조938억원이 만기 1년이하 단기 차입이다.
1년 이상의 장기차입은 22조596억원이며 나머지 13조7천195억원은 외상채권이나 지급어음, 퇴직급여충당금 등 각종 충당금이다.
전체 차입금 가운데 회사채는 22조원, 기업어음(CP)은 11조원으로 회사채와 CP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대우의 자금난을 몰고온 것은 만기 1년 이하의 단기차입이다. 여기에는 만기 3개월짜리 CP가 11조원을 차지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사태이후 이 CP와 일부 회사채에 대한 만기연장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바람에 대우가 지금과 같은 유동성 위기에 몰리게 됐다.
이같은 현상은 지난해 하반기 정부가 금융기관에 대해 5대 재벌 CP와 회사채 보유한도를 제한함으로써 심화되기 시작했고 지난 4월 대우의 구조조정 발표이후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됐다.
금융기관의 회수 움직임에 따라 대우의 CP는 지난 7월 16일 현재 8조6천95억원, 회사채는 6월 30일 현재 19조9천452억원으로 지난해 말에 비해 각각 2조4천억원과 2조원 가량이 축소됐다.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빅딜이 지지부진한 것도 자금시장의 불안을 증폭시켰다.자금시장이 대우의 구조조정 노력에 의심을 품으면서 만기연장을 거부하고 일제히 상환을 요구해왔다. 자금상환 요구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영업이 받쳐줘야 하나 계열사들이 대부분 구조조정 태풍에 휩싸이면서 매출이 시원치 않았다.
요즘들어서는 만기 10일이내로 초단기화된 여신규모가 10조원대를 넘어섰고 하루 5조원이 몰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때문에 대우의 자금담당자들은 부도를 막기위해 금융기관을 쫓아다니느라 하루하루를 악몽으로 보내야했고 금융감독기관도 창구지도라는 형식을 빌려 대우 채권단에 여신회수 자제를 촉구했으나 한계가 있었다.
결국 대우는 자금상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이달 들어서면서 정부에 '구원'을 요청했고 정부는 김우중(金宇中) 회장과 대우그룹이 모든 것을 채권단에 담보로 내놓는 조건으로 4조원의 신규여신과 단기차입금의 6개월 만기연장을 결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렇다고 대우의 유동성위기가 해결됐다고는 할 수 없다. '세계경영'을 하면서 해외 현지법인이 현지 금융기관으로부터 끌어 쓴 차입금도 대우의 자금난 해소에 커다란 암초가 되고 있다.
해외현지법인의 차입금은 20조원, 30조원 등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금융계는 최대 100억달러(12조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대우의 총부채는 72조원이 된다.
대우가 아무리 자산을 열심히 매각해도 이 돈이 해외 차입금 상환으로 빠져나가면 구조조정은 의미가 없다. 국내 부채를 줄이는데 걸림돌이 되기 때문이다.
이헌재(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은 이를 의식, "해외 현지금융은 대우가 현지에서 해결해야하며 국내로 부담이 넘겨져서는 안된다"면서 채권단은 이를 철저히 감시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국내 주요 채권금융기관별 여신액은 산업은행 4조원, 제일은행 2조8천억원, 외환은행 2조6천억원, 한빛은행 2조5천억원, 수출입은행 2조3천억원, 조흥은행 2조2천억원이며 2금융권에서는 한국투신이 1조7천억원, 대한투신이 1조4천억원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