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시 몰아친 세풍 회오리정국 예고

세풍사건이 다시 정국흐름의 변수로 부상했다.

한나라당은 30일 당과 이회창(李會昌) 총재의 도덕성에 회복불능의 타격을 미칠수 있는 이 총재 측근들의 세풍자금 분산 은닉설이 제기되자 그 '배후'로 청와대를 지목하며 강력한 대여 투쟁을 선언했다.

이에따라 정국이 급랭함으로써 눈앞에 닥친 제206회 임시국회를 비롯한 정국운영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된다.

한나라당 안택수(安澤秀) 대변인은 "전혀 사실과 다른, 터무니 없는 음해공작"이라며 "청와대와 국민회의는 이런 야비하고 저질스런 야당 분열공작을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또 내달 2일 총재단회의와 의원총회를 열어 구체적 투쟁방법을 논의키로 하는등 이번 사태를 심대한 위협으로 간주, 총력전을 전개할 태세다.

한나라당은 이 총재 핵심 측근들의 자금 은닉의혹이 불거진 데는 다각적인 '저의'가 숨겨져 있다고 받아들이고 있다.

우선 여권이 정계개편과 신당창당에 앞서 한나라당을 분열시키는 한편 이 총재측근들에 대한 공격을 통해 이 총재를 궁지에 몰아넣으려는 의도로 판단하고 있다.또한 '4대 의혹' 사건과 임창열(林昌烈) 경기지사 부부 수뢰사건, 조폐공사 '파업 유도' 의혹 등을 희석시키고 '옷 로비' 및 '파업유도' 의혹에 대한 특검제 및 국정조사에 앞서 야당의 공세를 미리 차단하자는 전략이라는 시각이다.

이런 까닭에 한나라당은 사정당국이 이 총재 측근들의 자금 은닉설을 공식 확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하는 분위기다.

'한나라당=세도(稅盜) 집단'이라는 등식을 국민들의 뇌리에 심어주고 뒤로 물러서는 '치고 빠지기식' 수법을 쓰고 있다는 인식인 것이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만약 이러한 설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이 총재와 당직자들의 도덕성은 심대한 타격을 입고 정국의 주도권을 여당에 빼앗기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자체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또 한나라당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대선자금을 거듭 문제삼고 나서는 한편으로 주혜란(朱惠蘭)씨가 경기은행으로부터 받은 4억원의 사용처를 밝힐 것을 요구하고, 이희호(李姬鎬) 여사 조카 이영작(李英作)씨의 경기은행 로비 사건 연루 의혹을 다시 제기하는 등 맞불작전을 전개했다.

여기에다 국민회의가 이영일(李榮一) 대변인 논평을 통해 "국가의 조세권이 일개 정당의 사유물이 되고 개인적 착복수단으로 변질해 버린 사실은 도저히 좌시할수 없는 범죄이자 도덕적 파탄"이라며 철저한 진상 조사를 촉구하고 나섬으로써 여야간 첨예한 대결구도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또 자민련 이양희(李良熙) 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여러 사람의 계좌에 아직도 10억원대의 고액이 잔액으로 남은 것이 사실이라면 이는 세풍사건의 규모를 짐작케하는 것"이라며 "우리는 엄정한 수사를 통해 세풍사건의 진상을 낱낱이 밝힐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같이 여야가 대치함에 따라 제206회 임시국회에서 처리돼야 할 제2차 추경예산안 등 민생 현안은 물론 특검제 도입협상, '파업유도' 의혹 국정조사 및 '옷 로비' 의혹 법사위 조사 등 정국 정상화를 위해 해결돼야 할 각종 난제들이 더욱 꼬일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