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천시의회는 한해 의정활동 중 가장 중요한 행정사무감사와 예·결산이 기다리고 있는 정기회를 개회 첫날부터 파행과 공전으로 몰고갔다.
모 의원이 자신의 지역구에 예산 배정이 제대로 안됐다며 의장실에서 시장에게 폭언을 했고, 이에 동료의원이 본회의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폭언 의원의 사과를 요구했는데 의장이 수용하지 않자 의원들 중 절반이 퇴장한 것이다. 이렇게 10여일간의 파행과 공전이 시작된 것이다.
시장에 대한 의원의 폭언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동료의원이 집행부를 대신한듯 폭언 의원에 사과를 요구하는 모양새도 어색하긴 마찬가지. 관심있는 시민들은 무엇보다도 이런 정도의 사안이 어떻게 장기 파행의 원인이 될 수 있는지 놀라울 따름이라고 말한다.
이같은 파행과 공전은 '의장파'와 '반의장파'의 묵은 대립의 소산이라고들 한다. 의장선거 때 갈라진 양파 의원은 공교롭게도 8대8인데 그 구도가 말썽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구도는 시민들이 희망하거나 만들어 준 것이 아니고 의장의 정치력 부재속에 의원들 스스로가 만든 파당일 뿐이다. 우여곡절 끝에 파행사태는 봉합됐지만 시민들에 실망감만 안겨줬을 뿐 남은 것은 아무 것도 없는 것 같다.
그러잖아도 시장의 재판건으로 자존심이 상해 있는 시민들에게 의회마저 이런 형편이니 도무지 지방자치라는게 누구 좋으라고 하는 것이냐는 자조적인 비판만 비등할 뿐이다.
시장의 재판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시의회의 파쟁도 여전히 살아 있다. 그러나 시민에 대한 책임의식은 책임자건 누구건간에 찾아보기 힘든 것 같다. 오히려 민선은 어떤 경우에도 책임지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아무리 큰 일이 있어도 달라진다거나 새로워지는 것이 없다.
'풀뿌리 민주주의'라는 지방자치가 영천에 와서 뿌리를 못내리고 고생하고 있는 것 같다. 그것은 그 지방, 그 지역민들의 고생과 연결되기도 하다.
사회2부·김재열차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