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산업 고도화 획기적 전기

민자 포함 총 5조원 규모의 '디지털 밸리' 조성 소식이 전해지자 지역 경제.학계에선 이를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고기술, 고부가가치를 통해 지역 산업구조를 한단계 끌어올려야 할 상황에서 시의적절한 프로젝트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지역 경제계 및 학계 관계자들의 디지털 밸리 사업에 대한 견해를 들어본다.

△임경호(47.대구상공회의소 차장)=대구지역 제조업의 종업원 1인당 평균 부가가치액은 전국 평균치의 75%에 불과하다.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산업의 유치가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본다. 방향을 제대로 못잡고 있는 산업구조 고도화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테크노파크와 접목하면 시너지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김태식(42.계명대 컴퓨터전자공학부 교수)=디지털 밸리 조성으로 첨단산업 기반이 갖춰질 경우 우수인력의 역외 유출방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스탠퍼드대가 실리콘 밸리의 인력기반이듯 디지털 밸리에 들어설 연구소들이 전문인력 양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대규모 정부사업이 단지 조성 등 외형에 치우치는 폐단이 거듭돼서는 안될 것이다.

△김병민(32.민커뮤니케이션 대표)=2년 남짓한 지역의 벤처 성장기를 거치는 동안 상당수 유망 벤처들이 지역을 떠났다. 디지털 밸리 사업은 고급인력의 역외 유출을 막아 산업의 고도화를 이루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대구.경북은 디지털 밸리 조성을 위한 천혜의 요건을 갖추고 있다. 동북아의 디지털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집중적인 육성책을 펴야 할 것이다.

△김기홍(39.대우기전 조사과장)=세계 유명 자동차 메이커들은 말만 하면 목적지까지 스스로 가는 자동차를 개발 중이다. 국내에서도 이런 자동차를 만들려면 첨단산업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디지털 밸리가 조성되면 자동차부품 관련 지역업계와 밸리의 공동 연구가 활성화돼 지역의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황병우(33.대은금융경제연구소 책임연구원)=디지털 밸리는 지역의 숙원사업이었다. 제조업보다 한차원 높은 고부가 2.5차 산업을 이식하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구미의 전자와 대구의 섬유.기계.유통 등 기존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촉매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의 정보화 인력이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관심을 쏟아야 할 것이다.

△이정인(50.대구경북개발연구원 지역연구실장)=지역에서는 지금까지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신산업정책이 없었다. 환경친화적 업종인 디지털 밸리 조성은 최선의 정책선택이다. 특히 대구.경북은 고급인력이 풍부하고 구미공단, 테크노파크 등을 포용하고 있어 밸리 사업의 최적지로 평가된다.

경제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