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태준 총재의 총리행과 이한동 의원의 영입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자민련 영남권 의원들의 불만이 증폭되고 있다. 자신들의 반대에도 불구 박 총재의 총리행은 거의 굳어지고 있고 이 의원의 영입도 JP가 TK에서 수도권으로 '파트너'를 바꾸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민련의 지도체제 변화는 박 총재가 예고했다. 박 총재는 29일 한 인터뷰에서 차기 총리문제와 관련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총리직)권유를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김대중 대통령에게 대답하고 김 총리와 협의할 시기가 임박했다"며 후임 총리직 수락의사를 내비쳤다. 또 총재직은 이날 한나라당을 탈당한 이 의원이 맡게 될 것임을 예고했다.
그러나 당내 영남권 의원들은 이같은 지도체제의 변화가 영 달갑지 않다. 이날 열린 당무회의에서 박철언 의원은 박 총재의 총리행과 관련해 "자민련의 독자노선을 위해 (박 총재가) 총리로 가는 문제를 재검토해야 한다"며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복합선거구제와 영수회담 등에서 자민련이 소외되는 등 정체성을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박 총재의 총리행은 자신들의 처지만 어렵게 만든다는 주장이다.
박 의원은 이 의원의 영입에 대해서도 "김 총리가 이 의원의 영입을 통해 영남권을 포기하는 듯한 언론보도가 있는데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발끈하기도 했다.
김동주 의원도 "박 총재의 총리행을 반대한 것은 총재를 위한 것"이라며 "박 총재가 총리로 갈 경우 내년 총선의 패배를 책임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내친 김에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어 탈당명분을 쌓으려는 인상도 풍겼다. 박구일 의원 등은 "현행으로 가려면 의원 수를 줄이라"고 요구했다. 박 의원은 특히 "내각제와 중선거구제가 물 건너간 상황에서 복합선거구제마저 안된다면 내년 선거는 참패"라며 중대결심의사까지 내비쳤다.
그러나 이들 의원들이 당장 변신을 시도할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일단 국민회의와의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자민련의 변화를 더 지켜보겠다는 생각이다. 이정무 의원은 "국민회의의 정강·정책에 대해 자민련이 강하게 비판하는 모습을 보여 정체성을 확보해야 한다"며 "일단 더 지켜보자"고 말했다. 그렇지만 박 총재의 총리행과 이 의원의 영입으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한 영남권 세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들이 뭔가 명분을 축적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李相坤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