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들이 그토록 원하신다면…"지역에서 출마하는 무소속 후보들의 '당선후 한나라당 입당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한나라당에 대한 '묻지마 정서' 한계에 부닥친 후보들이 어쩔 수 없이 마지막 비상책을 선택한 것이다.
호남 지역 비민주당 후보들이 'DJ 선생님'을 외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그러나 '구급약'이 될지 '독약'이 될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는 없다.
수성을에서 무소속으로 나선 남칠우 후보는 7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당선된다면 한나라당에 입당하겠다'고 밝혔다. 남 후보는 "각 정당의 공천 권유에도 기존 정당의 사당화에 절망감을 느끼고 무소속을 고집해 왔으나 이에 한계를 느낀다"며 "한나라당이 아니면 정치를 할 수 없다면 한나라당에 입당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한나라당이라는 조건에서 윤영탁 후보와 자신을 평가해 달라는 뜻이다. '지역 정서'가 아니라 '인물 대결'을 하자는 것.
수성갑 지역 무소속 권오선 후보도 '한나라당 입당'을 공언한다.
권 후보는 "원래 한나라당 당원이었지만 잘못된 공천으로 희생양이 된 만큼 당선되면 당연히 입당한다"는 주장이다. 경산·청도에 출마한 최병국(무소속) 후보도 "굳이 따진다면 나도 한나라당이나 마찬가진데 유권자들이 뭘 망설이는지 모르겠다"며 입당설을 밝히고 있다. 민선 동구청장 출신으로 동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오기환 후보는 공식적으론 '입당'을 밝히지 않지만 주변 강권에 떠밀리는 입장. 만나는 사람마다 한나라당 입당을 재촉하는 탓이다. 한나라당 강신성일 후보를 추격권 내에 두고 있다고 판단하는 오 후보 측은 "한나라당 당원까지 찾아와 입당 약속만 하면 무조건 이긴다고 성화"라며 "솔직히 입당설을 나서서 진화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는 입장.
이에 대해 지역 정가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내세우는 선명성을 흐려 감표요인이 될 것', '한나라 색깔을 비출 수록 유리할 것'이라는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다.李宰協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