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말만 앞선 관광지 개발

지방화시대를 맞아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이 요란한 관광지 개발 계획을 수립해 놓고도 대부분 미개발 상태로 방치, 지주들의 반발을 사는 등 주먹구구식 행정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건설교통부는 지난 2월 환경부 등 중앙부처간 협의와 국토건설종합계획 심의회를 거쳐 경북도가 신청한 안동호 주변지구(안동.청송)의 개발계획을 최종 확정했다.이에 따라 청송군의 경우 11개사업에 157.7㎢를 지정, 올해부터 총 4천851억원(민자 4천345억원, 국비 370억원, 지방비 136억원)의 사업비를 투자,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개발촉진지구내의 청송 부곡온천지구의 경우 당초 40여만평을 지정고시 했으나 개발 면적이 지나치게 넓고, 재원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계획이라는 지적에 따라 청송온천개발(주) 측에서 9만여평으로 축소한 상태다.

또 군이 민선자치단체장 출범이후 관광지 개발 계획중인 관광지 면적만도 청송읍 청운지구, 안덕 신성계곡지구, 진보 신촌약수탕지구 등 3개 지역 21만6천700여평이나 된다.

특히 국립공원 주왕산 및 달기 약수탕일대 집단시설지구의 경우 지난 76년 공원구역으로 11만여평을 집단시설지구로 지정고시해 놓고 25년째 공원법에 묶인 채 방치, 토지소유자들이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못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해당 기관과 협의를 거쳐 계획된 관광지 가운데 추진에 문제가 있거나 미개발 관광지는 취소 또는 축소 조정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金敬燉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