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31일 화산이 폭발한지 한달이 경과한 1일 일본 홋카이도 우스(有珠)산에는 지금도 분화활동이 계속돼 화산 전문가들은 대규모의 재폭발에 대비, 계속된 관찰이 필요하다고 보고있다.
한달전 긴급대피했던 약 8천명의 인근 주민들도 계속되는 피난생활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끝이 보이지 않는 피난시설에서의 피로와 불만이 높아가고 있다.23년만에 분화를 시작한 우스화산을 계속해서 관찰해 온 화산전문가들은 지금까지 50여개의 크고작은 화산구가 열렸으나 최근의 관찰에 의하면 최대직경 150m에 달하는 화산구가 활동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반은 최고 33.5m의 융기가 확인됐다.이러한 경향으로 봐서 전문가들은 "화산폭발을 예고하는 마그마의 상승이 중단돼 당분간 큰 폭발의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그러나 화산성 지진의 발생횟수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과거의 사례로 봐서 5월중순 쯤에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한편 관광객들로 붐비던 인근 온천 휴양지의 각 업소들은 모두 폐쇄된 상태가 계속돼 종업원들의 대량해고가 발생하고 있다. 출입금지 조치가 해제된 일부 마을에서도 화산재에 뒤덮여 농사와 어로작업이 늦어지고 있다.
특히 도야코 온천가의 주민 1천420가구 2천750명은 한달전 대피한 후 한번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상태이다. 대피시설에서는 자치회를 결성해 질서를 유지하고 있으나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환자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정부보조금으로 건설중에 있는 가설주택 약 500동에 대한 입주는 5일부터 시작되지만 광열비와 식비를 부담해야하는 주민들은 회사와 상가의 장기휴업으로 인한 생활대책 등으로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우스산은 1822년 폭발, 대규모 용암이 발생해 50여명이 사망한 바 있으며 그후 78년까지 모두 7차례 분화했었다.
朴淳國 편집위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