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민·주택은행 등 우량은행간의 합병보다는 부실채권인수, 증자지원 등의 방식으로 우량은행과 시너지효과 창출이 가능한 공적자금 투입은행간 합병을 유도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위원회 고위관계자는 16일 현재 은행권에서는 국민·주택·신한·하나은행 등 우량은행간 합병논의가 일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이는 은행권 전체의 불확실성 제거나 시너지효과면에서 바람직스럽지않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정부로서는 우량은행이 시너지효과 창출이 가능한 공적자금 투입은행과 합병하는 것이 은행산업 전체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유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은행이나 주택은행 등 우량은행이 이같은 방향으로 합병파트너를 찾아 설득에 나서거나 역으로 공적자금이 투입된 시중은행이 합병효과 극대화가 가능한 우량은행을 찾는 노력이 가시화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 관계자는 일각에서 공적자금이 투입된 은행들을 부실은행으로 매도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들 은행은 정부의 공적자금 투입과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기업에 대한 충분한 대손충당금 설정으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10%를 넘고 있는 만큼 과거의 부실은행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에따라 소매금융에 강점이 있는 국민·주택은행 등 우량은행과 국제·기업금융에 강점이 있는 외환·서울·조흥·한빛은행 등과의 양자 또는 다자간 합병 논의가 8, 9월로 예정된 금융지주회사법 제정을 전후해 활발해질 전망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 정부, '4년 연임 개헌·권력기관 개혁' 등 123大 국정과제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