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정상 회담 준비 급류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국민과 정가에서는 의전의 형식과 내용, 또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상대방에 대한 예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즉 태극기와 인공기 게양을 둘러싼 국기(國旗)와 국가(國歌)문제는 어떻게 처리하고 김 대통령이 평양체류시 김일성 묘소를 방문하느냐, 또 우리 측이 김 국방위원장을 어떤 시각에서 바라보고 대접하느냐 등 중대하고 심각한 일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 넓게 보면 한국 현대사가 새로운 분기점에 서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남북 양측은 실무접촉을 통해 대략적인 합의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이번 평양회담 방문시 남북간의 이념적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구체적으로 대규모 환영행사 등 불필요한 의전절차를 대폭 축소하는 등 '국빈방문'대신 '실무방문'형식으로 전환키로 한 것이다.

이는 지난 70년 동.서독 정상회담과 72년 미.중 정상회담 등에서도 국기,국가문제 등 불필요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의전절차를 대폭 생략했던 점을 준용한 셈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같은 방침을 전하면서 특히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김일성묘소참배 가능성 등과 관련,"현재 김일성묘소참배나 단군릉 방문 등 북한의 이념적 조형물 방문행사는 제외시키는 방안을 북측과 협의하고 있다"면서 "다만 북한내 고구려유적지 방문 등 공통된 역사적 유적지를 방문하는 방안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반대로 우리 측도 김 대통령이 남.북합작공장을 방문함로써 북한의 경제난을 부각시키고 자존심을 건드리는 일은 하지않기로 했다는 것이다.또 정부는 실무정상회담의 의미를 살리기 위해 두 사람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단독회담형식으로 열 것을 놓고 북한 측과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고심중의 하나는 역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한 예우수준이다. 우리 국민들사이에는 아직도 북한의 김정일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아무리 정상회담이라고 하더라도 이를 고려치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정부 측은 남북관계의 장래를 위해서도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북한의 실질적 정상인 만큼 일단 이에 걸맞은 예우를 해줄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적 정서를 반영해서 신중히 접근하되 미래지향적인 태도를 취하겠다는 생각이다.

李憲泰기자 leeht 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