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지방자치제 도입이 1일로 5주년을 맞았다. 풀뿌리 민주주의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 배양과 함께 봉사행정.공공부문에 경쟁원리가 도입되는 등 여러가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방의 경제는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지방자치 5년은 절반의 성공에 그치고 있다.
우리는 무엇보다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 지자체의 재정상태가 계속 악화일로인 점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현재 전국 지자체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59.4% 수준이다. 지방자치가 처음 실시된 91년의 66.4%, 민선자치단체장이 들어선 지난 95년의 63.5%와 비교할때 계속 떨어지고 있다. 이런 평균치는 상대적으로 형편이 나은 대도시의 재정자립도를 반영한 것이어서 이점도 주목한다. 경북 문경시는 15.3%, 경북 영양군은 9.2%로 전국 최저치를 나란히 기록해 인건비조차 해결할 능력이 없을 지경에 빠졌다는 판단이다. 부실한 지자체 재정을 부채질 한 것은 지자체 단체장의 방만한 재정운용이 원인이라고 꼽는다.
근본적인 지방재정 취약은 심각한 수도권 집중에 있다. 수도권에는 인구, 정보, 행정 등 모든 것이 몰려들어 '서울공화국'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정보화시대가 열리면 이런 현상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는 되레 고착화 현상으로 치달아 악순환 개선은 희망사항으로 밀려나 있다.
중앙정부의 권한 분산이 이루어져야 한다. 효율적인 감시장치가 없는 권한이양은 할 수 없다는 중앙정부의 주장은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 모든 정책이 수도권 위주로 결정되기 때문에 지방발전은 요원할 수밖에 없다. 균형있는 국가발전차원에서도 정부의 장기적인 안목과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는 또 지방자치단체장의 독단을 표적으로 삼는다. 개혁노력도 없이 정치적 지지를 의식한 선심 등 형식적이고 편의적인 행정을 없애야 한다. 원칙없이 지방자치단체장의 잣대로 한 팔공산 주변의 난(亂)개발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장의 구속사태 등은 이의 증명이다.
지방의원들의 자질부족과 실종된 도덕심도 지방자치발전의 걸림돌이다. 빈약한 의안처리는 자질부족의 한 증명이고 자신의 지역구 예산확보에 혈안이 돼 폭력을 행사하는 말썽은 실종된 도덕심이다. 관행으로 치부하는 관광성 해외시찰도 자제해야 한다.
지방자치 발전의 관건의 큰 요소는 주민들의 의식변화다. 엄격한 의정활동평가와 단체장의 업무수행 검증은 주민들의 몫이다. 보다 살기좋은 내고장은 주민들의 활동에 달려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