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미업체도 대북투자 '눈독'

미 정부가 개최한 대북 교역및 투자 설명회에 농축산물, 컴퓨터, 중장비업체 등 80여개사가 참가, 미국 업체들의 대북사업에 대한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워싱턴무역관 보고에 따르면 미 상무부가 6일(현지시간) 국무부 및 재무부와 합동으로 개최한 설명회에 곡물수출협회, 축산품수출협회, IBM, 휴렛 팩커드, 오라클, 듀퐁, 필립모리스 등 80여 업체와 단체가 참석, 미국이 농축산품, 사무자동화기기, 소프트웨어, 건설중장비, 화학제품 등을 수출 유망상품으로 꼽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국무부 관계자는 미-북간 교역이 정상화되는 데는 시일이 필요할 것이며 북한은 최근 미국으로부터 영구적 정상교역국지위(P-NTR)를 부여받고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추진하고 있는 중국의 교역개방 패턴을 닮아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무부와 재무부 관계자는 경제제재 완화조치로 농산품, 의약품, 저기술 산업재와 서비스 등 교역가능 품목 가운데 90% 이상의 수출입이 가능해졌지만 북한산 물품수입은 미국의 무기수출법에 의해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며 테러방지와 핵기술확산저지 목적상 군사적으로 민감한 품목의 수출은 면허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상무부는 참가자들에게 대북교역에 있어 17개 항목의 금기사항(Dont's)과권장사항(Do's)을 나열한 대북수출 유의사항을 배포해 관심을 끌었다.

우선 금기사항으로 북한의 비즈니스와 투자환경이 서구와 같을 것이라고 속단해서는 안되며 임가공 생산에 필요한 인프라와 전기, 수도, 도로, 공항 등 기초산업재가 구비되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서도 안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북한경제는 국영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소비자 자본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북 수출에 있어 신용장 거래 등 관례적 결제보다 현금결제 방식을 이용해줄 것을 당부했다.

유의사항에는 수출상품 도착지를 남한(South Korea)이 아닌 북한(North Korea나DPRK)으로 착오없이 기입하라는 사항도 있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