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의 유동성문제가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면서 자금시장에 불안의 먹구름이 짙게 몰려들고 있어 우리 경제가 심상찮은 분위기에 휩싸였다. 이미 회사채 금리가 이틀 연속 급등하고 장기채권거래도 중단되는 등 자금시장지표가 악화되는 만큼 기업의 돈가뭄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현대건설이 엊그제 제2금융권 기관들이 자금지원을 꺼리는 바람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기업어음의 차환(借換)발행에 큰 어려움을 겪어 국민의 관심이 집중될 정도였다. 정부의 자금시장 안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같이 현대의 유동성문제가 재연된 것은 지난 5월 처음 이 문제가 불거졌을 때 내놓은 자구계획을 제대로 실행치 않았고 현대자동차계열분리 문제의 해결이 지지부진한데 가장 큰 원인이 있다. 신용평가기관들이 현대에 대한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한 것도 이같은 원인이 시장의 신뢰를 잃게 했다는 설명이고보면 시장의 신뢰회복 없이는 어떤 처방도 효과를 거둘 수 없음을 말해준다. 결국 현대사태를 계기로 직접 금융시장이 얼어붙고 은행들도 일부를 제외한 대기업에 대해서마저 대출을 기피함으로써 금융시장이 실물경제의 발목을 잡는 상황이 시작된 것이다. 한계기업 뿐아니라 건실한 기업마저 일시적 자금경색에 막혀 기업이 어려움에 빠지는 상황이 온 것이다.
그러잖아도 하반기에는 경기가 정점을 지나 하강국면으로 접어들 것이란 전망들이 여러 곳에서 나오고있는 판에 자금경색마저 겹친다면 경기는 급강하할 우려마저 있는 것이다. 이같은 현실을 놓고본다면 "시장참여자들은 자금회수 등과 같은 무책임한 행동으로 쪽박을 깨는 사태를 초래해서는 안될 것"이란 이헌재 재정경제부장관의 금융권에대한 경고는 일단 수긍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자금경색으로 실물경제가 무너지면 금융권도 성할 수 없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우선 하반기 금융구조조정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기적으로 자금회수에 나선다면 현대뿐 아니라 어떤 기업도 살아남기 힘들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당장의 어려움을 넘기는 임시처방일 뿐이다. 근본적으로는 현대에서 발화된 자금시장의 불안은 먼저 현대가 신속하고 투명한 자구노력을 보여야 진정한 실마리를 잡을 수 있다. 현대그룹의 시장에 대한 신뢰 회복 없이는 문제를 풀 수 없다. 정부가 현대계열사의 자금사정은"오히려 나아지고 있다"면서 자구노력을 평가한다지만 이미 정부당국도 신뢰를 얻지못하는 입장에선 그같은 말들이 얼마나 먹혀들지 의문이다. 정부도 신뢰회복의 조치를 취해야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