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근 공중보건 수의사제 도입을

가축 전염병 확산 등 축산파동에 대비, 수의과대학 졸업생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공중보건 수의사제'도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7일 합천군 축산업관계자에 따르면 도내 각 기초 지방자치단체들이 공수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개인 가축병원을 운영하고 있어 전염병 발생시, 즉각적인 투입이 어렵고 인력 부족 등으로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지난 4월 구제역 발생때 합천군은 도내에서 가장 많은 공수의사(10명)가 있었으나 소·돼지의 예방접종과 방역활동에 일손이 달려 큰 어려움을 겪었다.

또 지난 달 창녕군에서 탄저병이 발생했으나 군은 공수의사 6명을 투입하고도 모자라 경남도의 지원을 받아야 했다.

이에 대해 축산업자들은 "구제역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무엇보다도 일사불란한 방역이 필요하나 지금과 같은 인원과 체계로는 문제가 많다"며 "수의대 졸업생들을 공중보건 수의사로 활용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현행 개인 가축병원 겸직 공수의사에게 지급되는 수당(월 49만원)을 일반 공수의사에게 병역혜택과 함께 지급하면 호응도가 매우 높을 것"이라고 주장했다.경남도 현 공수의사는 합천이 10명으로 가장 많고 거창, 진주, 산청이 각 8명, 밀양 7명, 창녕 6명, 함양 5명, 의령 4명 등 총 110명이 있다.

鄭光孝기자 khjeon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