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정(崔善政) 보건복지부 장관은 11일 "의료계 설득을 위해 계속 대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의료계가 최근 요구하고 있는 사법조치 해제와 약사법 재개정 문제에 대해서는 난색을 표명했다.
다음은 최 장관과의 일문일답.
-결국 의료계 재폐업이 시작됐는데….
▲취임 이후 줄곳 의료계의 입장에 서서 어려운 점을 파악하고 해소해 주려고 노력해 왔다. 전날 발표한 의료발전 대책도 이같은 바탕에서 출발한 것이다. 사태를 해결할 묘안이 없어서 걱정이다.
-의료계와 대화는 이뤄지고 있나.
▲공식, 비공식 통로로 대화를 계속 추진중이다. 의료계 누구라도 가리지 않고 만나 설득할 계획이다. 통로가 일원화돼 있지 않은 만큼 의사협회 집행부, 의권쟁취투쟁위원회, 전공의, 전임의, 의대교수 등 다각도로 만나겠다.
-사법조치 해제 요구에 대한 의견은.
▲의료계가 지도부에 대한 석방과 수배 해제 등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사법당국의 일로 (복지부는) 권한이 없다. 또 이번 사태의 본질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일이다.
-약사법 재개정 요구에 대해선.
▲임의.대체조제의 금지를 말하는데 지난 국회에서 그렇게 만들기 위해 법개정이 이뤄진 것 아니냐. 국회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여야가 이 법만은 통과시킨 만큼 국민적 합의로 봐야 한다. 물론 필요하면 법은 개정하는 것이고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문제가 있다면 한자리에 앉아서 협의를 해봐야 하는 것이지 장관이 법개정을 약속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부담 증가에 대한 국민의 불만이 크다.
▲의료 문제의 본질을 나름대로 분석한뒤 매를 맞을 각오를 하고 마련한 처방이었다. 우리나라 의료보험 수가가 너무 낮은 것은 사실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위한 조치를 국민이 이해해 주길 바란다.
-강경 대응 계획도 있나.
▲물론 원칙을 따를 것이나 부임후 강경대처 입장은 한번도 내지 않았다. 의료계의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하다. 진솔한 정부의 입장을 내놓고 노력하고 있는 만큼 대화로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