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약국 심각한 경영난, '부도태풍 우려'

의약분업 실시와 의료계 폐.파업 사태가 장기화 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병원앞 대형 문전약국이 부도가 나는 등 약국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또 약국 자금난으로 필요한 처방약을 제때 구비하지 못해 환자들이 여러 약국을 다녀야 하는 등 불편이 커지고 있다.

대구 중구 경북대병원 인근의 대형 문전약국인 미래약국은 최근 자금난을 견디지 못해 부도를 내고 문을 닫았다.

다른 대형 문전약국들도 사정은 마찬가지. 대부분이 자금난때문에 처방약을 제때 구비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약사들은 약국경영을 포기하고 인수자를 물색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처럼 약국이 자금난에 시달리는 것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약값을 조제일로부터 3개월뒤에 약국에 지급하기 때문. 경북대병원 인근의 ㄷ약국 김계남 약사는 "하루 100건을 조제할 경우 3개월간 필요한 약값이 10억원이나 된다"며 "그러나 제약회사에서는 현금 결제를 하지 않으면 약을 공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약국의 경영난이 악화되면서 약국들이 약값 지급에 9개월 이상이 걸리는 의료보호환자들에 대한 조제를 기피하는 등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게명대 동산병원 인근의 모약사는 "의료보호환자가 하루에 10여명이나 돼 일부 환자들은 다른 약국으로 보내고 있다"고 털어놨다.

사정이 이렇자 약계에서는 "정부가 제약회사에 보증을 서 약국이 약값 걱정을 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만약 보험공단에서 약값을 조기에 지급하지 않거나 정부의 제약회사에 대한 보증이 서지 않는다면 약국의 연쇄도산은 피할 수 없게 될 전망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