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선 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난초그림 108점이 실린 묵란화첩(墨蘭畵帖)이 중국에서 발굴돼 국내반입됐다.
백선문화사 대표 이원기(69. 전 월간 문화재 발행인) 씨는 1일 "중국 베이징에서 무역업을 하는 한 사업가로부터 '석파도인유란도(石坡道人幽蘭圖)'라는 제목의 화첩(전 10권) 을 구입해 최근 들여왔다"고 공개했다.
가로 30cm, 세로 70cm, 두께 3cm의 이 화첩은 중국 신해혁명 후 교육총장(교육부장관)과 베이징 고궁박물원 도서관장을 지내고 톈진 북양(北洋)여자사범학교와 경사여자사범학교를 창설했던 교육자 푸쩡샹(1872-1949)이 보관해 오던 것이다.
국내 최대 규모로 평가되는 이 화첩은 대원군의 난초 그림 및 이를 그리게 된 연유를 밝힌 그의 친필 화제()가 실린 오른쪽 페이지와 푸쩡샹이 작품을 본 뒤 감상담을 적은 왼쪽 페이지로 구성돼 있다.
특히 그림에 적힌 '임진 중양절 석파노인(壬辰 重陽節 石坡老人)'이라는 글귀 등은 임오군란(1882년) 후 청나라의 톈진(天津)에 압송됐다가 돌아온 대원군이 운현궁에 칩거한 임진년(1891년) 울분을 달래며 붓대를 잡았음을 말해주고 있다.
임오군란으로 재집권에 성공했던 대원군은 청나라의 개입으로 톈진에 연행돼 3년간의 유수생활을 한 바 있으며 석파는 그의 호이다.
푸쩡샹은 베이징의 유명한 골동품거리인 류리창에서 이 화첩을 발견한뒤 흥선 대원군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고 새롭게 표구한 뒤 이를 가보로 간직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 작품이 어떤 경로로 중국에 흘러들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화첩을 감정한 문화재위원 허영환성신여대 교수는 "유일무이한 묵란도의 결정판으로 국보급 문화재로도 전혀 손색이 없다"면서 "국권상실의 시기에 권좌에서 밀려난 대원군의 심회를 간접적으로 엿볼 수 있는 명품들"이라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