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與 국민분노 외면 野 강경기조 지속

한나라당의 대여 투쟁기조는 정치권의 예상과 달리 여전히 강경 기류에 휩싸여 있다. 이회창 총재는 2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등원론을 사실상 일축하면서 여권을 강도 높게 비난한 뒤 영수회담을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나아가 회담이 끝내 수용되지 않을 경우 장외집회 등 모든 방법을 동원, 강경 투쟁을 계속 벌여나가겠다고 경고했다. 그러나 이같은 이 총재의 제의에 대해 민주당은 "수용할 수 없다"고 거부한 것으로 알려져 정국 긴장이 계속되고 있다.

결국 정국 해법을 놓고 여야가 막판 힘겨루기를 벌이고 있는 양상이며 이에 따라 국회 정상화 시기는 더욱 늦어질 수도 있다.

이 총재는 이날 현 정권의 독선.독주와 실정 등에 대해 "엉터리 정책으로 나라 경제와 서민 경제를 도탄에 빠뜨리고 준비안된 의약 분업과 무원칙한 대북정책으로 국민을 혼란과 불안에 몰아넣고도 반성과 개선의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며 "이 정권은 국민의 분노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같은 강경 입장 정리에 앞서 이 총재는 지난 주말과 휴일, 일절 공식일정을 잡지 않은 채 당 내외 인사들과 잇따라 만나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재는 국회가 장기간 방치되고 있는 데 따른 비난 여론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처지이지만 아무런 소득없이 곧바로 등원하는 것 역시 비난을 사기엔 별 차이 없다는 인식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가 회견에서 "한나라당은 지금이라도 국회에 들어가 국민들을 위해 의정활동을 열심히 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면서도 "그러나 국회법을 수(數)의 힘으로 날치기 한 이 정권이 또 개혁이란 이름으로 국민을 괴롭히는 법안을 밀어붙일 때 야당이 국회에 들어가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문한 데서 드러나 있다. 게다가 등원은 자칫 이 총재가 여권은 물론 당내 비주류에게 밀려 백기 항복한 꼴로 비쳐질 수도 있는 만큼 향후 정국 운영에 적지않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

때문에 이 총재는 지난 29일 "국회를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는 등 조기 등원론을 시사했던 발언을 재검토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와 관련 정창화 총무도 "여권이 특검제 도입 등 요구사항에 대해 아무런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등원한다면 당내 온건파들조차 자존심이 상할 것이며 특히 대구.경북 주민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고 반문, 강경투쟁 방침에 변화가 없음을 재확인했다.

결국 한나라당으로선 영수회담을 정국을 풀기 위한 유일한 해법으로 간주, 여권을 압박하고 있는 형국이다.

徐奉大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