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일 12대 핵심 개혁과제를 선정, 강력한 실천의지를 밝힌 것은 현 경제상황에 대한 위기의식을 반영한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우리 경제가 정상적인 성장궤도에 진입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금융시장도 점차 안정돼 갈 것이라는 낙관론을 펴왔다.
그러나 국제유가 폭등, 반도체 가격 하락, 해외증시 불안 등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고 포드의 대우차 인수 포기, 네이버스 컨소시엄의 한보철강 매입계약 파기 등 악재가 잇따르면서 자금시장의 경색이 풀리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위기의식을 갖고 신속한 금융.기업구조조정만이 위기 가능성을 없앨 수 있는 해결책으로 보고 12대 핵심 개혁과제를 선정, 4대부문 개혁의 뚜렷한 목표와 추진일정을 제시하게 됐다.
◆금융개혁
10월중 은행별 경영평가 결과에 따라 자체 정상화 곤란 판정은행은 강력한 자구계획을 전제로 11월까지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등 2단계 은행 구조조정을 완료한다.우량은행간 합병, 금융지주회사 등을 통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대형금융기관이 금융산업을 선도하도록 한다. 나머지는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중형금융기관, 틈새시장에 특화하는 전문금융기관 등으로 분화 발전을 유도한다.
종금.투신.보험 등 제2금융기관에 대해서도 금년말까지 현재 추진중인 2단계 구조조정을 완결한다. 한스.한국.중앙종금 등 영업정지중인 3개사에 대해 부실금융기관 해당여부를 10월중 판정해 부실금융기관 해당시 11월중 공적자금을 투입해 예금보험공사 자회사로 전환한다.
9월말 현재 지급여력비율이 100% 미만인 10개 보험사는 12월중 적기 시정조치 등을 통한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금고.신협은 합병유도.퇴출 등으로, 리스사는 대주주.채권단 주도로 12월중 구조조정을 완료한다.
40조원 규모의 추가 공적자금 조성을 위한 국회동의안을 10월중 제출하며 공적자금위원회 구성 등 공적자금 집행 및 사후 관리체제를 구축한다.
예금부분보장제도의 시행방안을 10월중 확정하고 공적자금 투입은행의 건전성, 수익성 지표의 분기별 공시체제를 11월중 마련한다.
◆기업개혁
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시장시스템에 의해 상시적으로 원활히 수행되고 부실기업에 대한 시장의 사전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드러난 모든 잠재부실기업의 정리방침을 연말까지 확정함으로써 기업신용을 둘러싼 시장의 불확실성을 제거한다.
워크아웃.법정관리.화의기업 등 이미 드러난 잠재적 부실기업의 처리방침을 연말까지 확정하는 등 잠재부실 기업을 정리한다. 유동성 문제가 있는 기업에 대해 채권금융기관을 통해 10월중 사업성 평가를 재점검한다.
향후 부실기업이 재발되지 않도록 예방적 감시체제를 구축하고 오너 중심의 독단경영이 기업 내외부에서 견제될 수 있는 투명.책임경영체제를 만든다.
기업지배구조의 추가 개선을 위한 입법안(상법.증권거래법 등) 및 지배구조 성실이행여부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기준을 10월중 마련한다.
부실기업경영에 대해서 끝까지 책임을 규명하고 추궁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보완한다.
◆공공개혁
포철의 민영화를 완료한데 이어 한국중공업은 9~12월 전략적 제휴, 기업공개 및 경쟁입찰 등을 완료하고 한국통신은 내년 2월까지 33.4%를 제외한 정부지분을 매각한다.
또 경영혁신이 미흡한 기관의 예산을 삭감하는 등 공기업의 경영혁신을 예산과 연계시킨다.
경제계의 건의 등을 바탕으로 강도높은 규제완화 및 조세 정비방안을 연말까지 확정, 추진해 나간다.
◆노동개혁
노사정 합의를 토대로 상생(相生)의 신노사문화를 정착시키고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 근로자의 고용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꾀한다.
휴가제도 합리화와 연계해 근로시간을 단축하고 근로복지 제도를 확충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