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년 공부가 끝나가던 학창시절의 마지막 학기를 맞으면서 '수류화개실(水流花開室)'이라 부르던 법정스님의 당호(當號)를 듣고 얼마나 부러웠는지 모른다. '공산무인(空山無人) 수류화개(水流花開)'에서 따온 맛이 얼마나 좋던지 산에 사시는 모습과 함께 한동안 내 속에서는 도각도각 냇물에 씻기며 부딪는 자갈돌처럼 여운이 남았었다. 이제 곧 세상에 나아가 내가 쓸 방호라도 얻기를 소망하였다. 우연히 제주도 유배지에서 썼다던 추사(秋史)선생님의 '소창다명(小窓多明) 사아구좌(使我久坐)'란 글귀를 듣고 부터 그만 마음이 작 달라붙었다.
들판에는 휘 뼈들이 바람에 씻기고 움집에는 찾는 이 없을지언정 작은 봉창 너머로 한낏 밀려드는 햇볕은 수인(囚人)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즐거움이었다. 유배살이가 절절히 배어나는 이 문장(文章)에서 되려 희랍의 철인(哲人)디오게네스의 햇살을 떠올리게 된다. 그것은 세상을 다 가진 정복자도 방해할 수 없었던 행복이 거기에 있었다. 익숙한 어떤 전율을 느끼며 이 이름 하나로 재미있게 살 수 있으리라 생각하면서 우거(寓居)의 제호(題號)를 '소창다명실(小窓多明室)'이라 명명하기로 했다.
그리고 잊어버릴 지 십년이 넘어서 이러저러한 끝에 여기 와서야 겨우 그 말뜻을 한풀 깨닫게 된다. 사진이라는 새로운 시각언어를 배우면서 이제껏 들어왔던 그런 세계를 점점 선명하게 확인하고 있었다. 정말 쓸데없는 짓이지만, 사진(寫眞)을 존재의 신비를 검증하는 작업과 같다고 느꼈다. 나는 카메라 뷰파인더의 이 작은 창틀 속에서 추사 선생과 디오게네스의 세계를 본다. 이제 방의 제호가 알맞게 잘 붙여진 것 같다.
군위성당 주임신부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