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자격증은 무용지물 선발인원 조절해야

2년간 공부한 끝에 직업상담사라는 자격증을 땄다.그러나 전문인으로서 취직해 인정받고 직장생활을 해보려고 딴 직업상담사 자격증이었건만 그 실태를 알고 나서는 너무나 기막혔다. 현재 우리나라에 직업상담사 자격증을 가진 사람은 2천명이나 되는데 이 자격증을 가지고 취직한 사람은 겨우 60명쯤이라고 한다. 자격증 취득인원의 3%만이 직업을 구했다니 말 그대로 장롱 자격증일 뿐이다. 자격증을 딴 사람들은 지금 모두 하늘만 바라보고 있을 것이다.지금 정부와 민간협회에서 내주는 자격증은 대략 1천여가지나 된다는데 그걸로 정상 취업하는 사람은 겨우 10%뿐이라고 한다. 그런데도 대학교나 일반 학원가나 주택가 전봇대에는 온통 자격증시대라며 그걸 따라고 광고들이 넘쳐난다. 서점을 가도 자격증 관련서적이 상석을 차지하고 사람들은 거기에서 북적댄다.

자격증이 나쁜건 아니지만 그걸 활용할 기회는 낙타가 바늘구멍 뚫는것처럼 어려운데 많은 사람들이 시간을 허비하고 몰린다면 결국 건전한 산업 생산인력만 뺏기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산업인력 수급의 불균형적 왜곡만 가져오는 자격증제도에 대해 그 숫자와 선발인원을 적절히 조절해 생산인력이 괜한 시간과 동만 낭비하는걸 막아야 할 것이다.

안효령(문경시 영신동)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