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박정희 흉상' 철거, 잘못이다

5개 시민단체들이 서울 문래동 문래공원에서 법에 의하지 아니하고 박정희 전대통령 흉상을 철거한 것은 부당한 처사라고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은 민주주의의 나라에서 법에 의하지 아니한 행동은 정당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박 전대통령에 대한 비판이나 재평가는 자유로워야 하고 또 그럴만한 사유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시민단체들의 주장처럼 일본군 참여와 독재자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판이 정당하다고 해서 법에 의하지 않은 이번 흉상철거가 정당화 될 수는 없다. 가치의 잣대가 다르다고 청산을 계속한다면 시대의 가치에 따라 청산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 언제까지 역사가 남지 않는 어리석음을 반복할 것인가. 우리는 이미 조선의 역사에서 무수히 반복되는 청산의 허무를 보지 않았는가.

시민단체들의 주장처럼 흉상은 '기념의 대상이 아니고 청산과 극복의 대상이기 때문'이라면 이 흉상은 바로 이 를 위한 교훈으로 활용 될 수도 있는 것 아닌가. 다시 말하지만 정신과 가치측면에서의 청산과 극복은 정당화 될 수 있을지언정 물리적 파괴는 폭력적이므로 결코 정당화 될 수 없다.

그리고 그동안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소위 민주화 세력과 산업화 세력간의 화해는 이뤄진 셈이다. 민주화 세력의 공(功)도 크지만 산업화세력의 공도 큰 것이다. 역사의 아이러니이기는 하지만 오늘날 민주주의를 위한 경제적 기반을 갖춘 것은 산업화 세력의 공이다. 이는 미국 하버드대학 배로우 교수의 논문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후진국에서 경제적 성공을 거둔 예는 권위주의로는 성공한 경우는 있어도 민주주의로는 성공한 전례가 없다는 내용이다. 이런 점에서도 민주주의에서는 반대 의견도 존중하는 공존의 논리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생각과 가치가 다르다고 파괴로 나간다면 우리사회는 어떻게 평화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 박정희 전 대통령의 기념관이 건립되는 것도 이러한 비판과 찬양의 양면이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면이 있기 때문이 아닌가. 물론 박정희모델의 성공기념 이를 후진국에 수출하여 돕는 등 국제사회의 기여과 국가위신의 선양도 있기는 하지만.특히 이번의 사태를 보면서 경찰은 무엇을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라디오방송이 생중계를 할 정도로 흉상철거는 알려진 일인데 이러한 불법행위를 몰라서 막지 못했다는 해명은 이해할 수 없다. 뒤늦게 강도상해혐의로 체포영장을 신청하고 흉상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신청하는 등 사태해결에 나서고 있으나 무언가 이상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공(功)과 과(過)가 뚜렷한 박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는 그야말로 국민과 역사가 하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