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기비전없는 경산개발,시.대학 반목 부추겨

학원연구도시를 지향하는 경산시가 지난 10여년 동안 대학 입지때 마다 학원도시 개발이란 거시적인 안목없이 대학을 개별 단위로 지역에 맞아 들인데다 지역과 연계한 도시 행정을 제때 못 펴고 뒤따라 가는 바람에 대학이 밀집한 최근에는 손도 못댈 처지에 봉착했다.

이로 인해 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간은 물론 대학 상호간에도 이질감이 형성되고 대학을 지역 발전에 접목시키지 못하는 등 지역 계발에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다.

경산 지역에는 지난 60년대말 영남대가 들어선후 80년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90년 들면서 경산대, 경일대, 경동대 등이 속속 설립돼 현재 11개 대학이 입지하고 있고, 대구 외국어대학 등 2개 대학이 신축중이거나 설립 인가 중에 있다.

그러나 경산시는 잇따른 대학 입지가 예견됐음에도 체계적인 도시 계획을 갖추지 않은 상태서 개별적으로 대학을 맞아 들여 대학이 형성된 경산권, 하양권, 진량권 등 3개 권역을 동질화하는데 실패해 권역별 이질 현상이 심각하다.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경일대 등이 모여 있는 하양읍은 90년초 2만7천여명이던 인구가 3만300여명으로 느는 등 유동 인구 1만여명을 합치면 현재 4만여명으로 늘었고. 진량읍은 1만2천여명이 3만8천700여명으로 3배 이상 급증 했다.

인구 증가로 하양. 진량읍의 기존 시가지 확장이 시급하지만 시는 도시계획 재정비수립을 5년 주기인 건설교통부의 지침보다도 배 이상 늦은 하양은 87년과 97년, 진량은 90년에 각각 10여년에 걸쳐 시행했다.

도시계획 면적도 하양은 읍 면적의 56%인 18㎢, 진량은 45% 정도에 불과한 21㎢ 밖에 시행하지 않아 늘어난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시가지 확장과 대학과의 지역 발전 접목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높다.

게다가 하양과 진량읍 사이에 100만평 이상의 농업진흥지역에 발목이 잡혀 경산권과 발전 연계를 못하고 있고, 하양 시가지 확장이 요구되는 곳은 금호강과 개발제한구역으로 가로 막혀 체계적 도시계획이 없는 상태서 도시가 기형적으로 형성된 실정.

영남대, 경산대 등 나머지 대학이 밀집한 경산권도 85년 도시계획을 재정비한후 95년 시.군 통합과 잇따른 대학 입지, 최근 5여년만에 인구 4만여명이 증가해 11만명에 육박하는 등 여러가지 요인이 있었음에도 지난해야 비로소 재정비해 굼뱅이 도시 행정이란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경산권도 도시계획을 비롯 도시기반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태서 대규모 아파트만 무계획적으로 들어서 도시개발이 기형화된 상태며 북부동 등 인구 수용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되는 시 외곽 지역은 개발제한구역에 발목 잡혀 있다.

특히 도시계획의 기본원칙이 광역안임에도 시는 3개 권역별 도시계획 변경 주기 맞추기와 관리가 어렵다는 등 이유로 개별적으로 도시계획을 적용시켜 지역간 이질감을 심화시키는 실정.

뒤늦게 마련한 도시계획안과 21세기 경산 뉴비젼 등은 학원연구도시 중심 센터 건립, 우수 고교 설립, 시내 도시계획도로 조성 등 내용은 푸짐하지만 전체적으로 시행되자면 1조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돼 예산 부족으로 도시계획사업에 연간 50여억원을 투자하는 시의 재정 규모를 감안할때 전체적인 실현 가능성은 희박한 실정이다.

대학들도 개별적 분리된 상태로 장기간 방치함으로 인해 대학 상호간 문화 형성 및 협력 중심점을 찾지 못하고 대구 지하철 경산 연장 문제 등 각종 현안 발생시 헤게모니 쟁탈전을 펴는 듯한 부정적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또 대학과 지역간의 이질감과 대학 문화가 전무한 탓에 대학의 지역 발전 동참은 고사하고 12만5천여명에 달하는 교직원과 대학생들의 절반 이상을 대구로 생활권을 거의 빼았겨 경산시는 12개 대학에 215만평에 달하는 거대한 땅을 학교시설구역으로 내 주고도 지역 발전에 대한 부가가치를 십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계획 전문가를 비롯 대학 관계자들은 흩어진 대학들이 대학 상호간, 지자체간 대화망을 우선 구축해야 대학과 지역사회가 연계한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몫이자 역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영남대 지역개발학과 최외출 교수는"경산이 참다운 학원연구도시로 거듭 태어나기 위해선 대학간 문화 및 대화 체널을 형성하고, 간단한 세미나라도 개최할 수 있는 아카데미 센터 설립이 급선무이며, 대학 문화촌 조성을 비롯 대학과 지역이 공유할수 있는 각종 경연 및 문화 대회 마련 등 지자체의 선도적인 역할이 절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창희기자 lch888@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