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위스키 소비 급증세 비쌀수록 많이 마셔

대우자동차 부도 등 경제불안에도 불구하고 올하반기 들어 위스키 판매는 빠른 속도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대한주류공업협회 등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국내에서 판매된 위스키량은 모두 65만4천303상자로 작년 같은 기간의 50만9천778상자보다 28.3% 늘어났다.

업체별로는 '윈저'를 생산하는 두산씨그램이 이 기간 모두 24만6천28상자를 판매해 전년동기의 20만2천863상자보다 21.1% 증가세를 보였다.

'임페리얼' 생산업체인 진로발렌타인스는 이 기간 20만8천88상자의 판매실적을 거둬 전년동기의 17만1천523상자에 비해 21.3% 늘어났다.

또 '조니워커' 생산업체인 UDV도 이 기간에 모두 16만7천80상자의 자사제품을 한국시장에서 판매해 작년 같은 기간의 11만5천619상자보다 44.5%의 증가세를 보였다.

시장점유율면에서는 두산씨그램이 41%로 선두를 차지했으며 진로발렌타인스(33%), UDV(22%), 기타(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

특히 룸살롱 등 고급유흥업소에서 'VIP고객용'으로 인기가 있는 발렌타인 17년제품의 경우 올들어 지난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 동안 모두 5천757병이 판매돼 전년동기의 3천237병보다 77.8%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역시 고급선물품목으로 하이트맥주 계열의 하이스코트에서 독점수입해 판매하는 조니워커 블랙도 이 기간 5천101병이 판매돼 전년동기의 3천578병보다 35.7%의 증가세를 기록, 고급위스키에 대한 한국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글렌피딕, 커티샥, J&B 등 다른 제품들은 아직 소비자들 사이에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탓인지 판매면에서는 작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업계 관계자는 "하반기들어 두드러지기 시작한 경제불안에도 불구하고 국내위스키시장은 빠른 성장세를 구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이는 올 추석이 예년보다 1개월 이상 빨리 찾아와 선물수요가 늘어난데다 위스키 소비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고급유흥업소가 경기침체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은 탓"으로 분석했다.

한편 올해 국내위스키시장은 작년보다 20% 가까이 성장한 1조2천억원대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