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의회 시정질의 이모저모

대구시의회는 16일 제 94회 임시회를 열고 문희갑 대구시장과 배광식 경제국장 등을 출석시킨 가운데 지역경제 위기에 따른 대책안과 기초자치단체간 재정격차 완화 방안에 대한 이틀째 시정 질의를 벌였다.

▲박성태 의원(달성군)=삼성상용차 퇴출로 자동차 부품과 기계금속 및 정보통신 분야 등 시가 구상한 자동차 산업벨트가 무산됐다. 지역경제발전 전략의 재수립 견해와 빈사상태에 몰린 지역경제의 회생을 위해 정계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범시민대책기구를 구성할 의사는.

삼성상용차 퇴출 이후 협력업체 연쇄부도와 대량실업 등 정확한 피해규모와 이들에 대한 구체적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지역 대기업의 연쇄 부도로 인한 대량 실업 사태의 최소화를 위한 공공근로와 취로사업의 확대 방안과 예비비 집행 등으로 고용장려금과 고용유지지원금을 조달할 용의는 있는가.

▲이신학 의원(남구)=계속되는 인구 감소로 세수가 줄어들고 있는 남.중.서구와 신흥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주민수가 60만을 넘은 달서구 등 대구지역내 8개 구.군간의 재정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이를 개선키 위한 행정구역 재조정 방안과 시급한 재정 불균형 완화를 위한 시 차원의 대책은 무엇인가.

쓰레기 처리의 민간 위탁 저조와 주먹구구식 재활용품 수거 방법으로 연간 260억원에 달하는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 다른 광역시의 경우 민간위탁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으나 유독 대구시만 낮은 이유와 향후 개선 대책은.

대구시가 600억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건립한 북부 농.수산물 도매 시장이 불.탈법의 온상이 되고 있으나 시의 행정지도가 겉돌고 있는 원인과 이에 대한 근본적인 제도 개혁의 의지를 밝혀 달라.

이재협기자 ljh2000@imaeil.com

이에 대해 문 시장은 "본인의 경제적 신념은 앞으로 다시는 삼성상용차와 같은 일이 있어선 안된다는 것"이라며 "빠른 시일내에 삼성과 협의, 대구 투자방안 마련에 노력하겠다"며 여전히 원론적 답변을 되풀이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이재협기자 ljh2000@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