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우협력업체 살리기 여야 한마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우자동차의 부도로 연쇄도산 위기에 몰린 지역 차 부품업계에 대한 지역 정치권의 '구조활동'이 여야의 경계를 넘어 활발해지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대우차의 주채권은행인 한국산업은행의 엄낙용 총재와 간담회를 가졌고 민주당은 지역 출신 최고위원들이 나서 협력업체와 산업은행 간에 중재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16일 국회에서는 한나라당 대구지역 국회의원들이 협력업체 대표들과 함께 엄낙용 산은 총재, 강기원 금감원 부원장보를 만나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한국델파이 협력업체 박성열 대표(화성금속 대표)는 "오는 25일 만기도래하는 320억원의 회사채를 막지못하면 델파이는 물론 195개의 납품업체가 연쇄 도산한다"고 호소했다. 또 델파이 전무준 전무는 "회사채 문제만 해결되면 전체 매출액 중 20%대의 수출비중을 50%로 높이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겠으며 협력업체 자산을 공동담보로 내놓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엄 산은 총재는 "델파이는 대우차와 공동운명체이기에 대우차가 정상 가동될 수 있다는 희망만 보이면 협력업체 지원방안을 마련하겠지만 현재로선 어렵다"고 말했다. 엄 총재는 또 "많은 협력업체 중 델파이만 특별지원할 경우 다른 업체들과 채권 은행단의 반발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간담회에서 지원이 어렵다는 쪽으로 기울자 지역 의원들이 중재에 나섰다. 강재섭 의원은 "델파이는 대우차와 운명공동체가 아니라 대우차와 거래한 피해업체"라고 말했으며 또 박종근 의원은 "델파이가 대우차로부터 받은 2천900억원의 진성어음을 담보로 잡고 320억원을 대출해 주면 되지 않느냐"고 제안했다.

그러나 엄 총재는 "델파이는 대우차가 지분의 50%를 가지고 있는데다 매출의 77%를 대우차에 의존, 대우차와 별개로 보기 어렵다"고 반박, 논란을 빚었으나 지역 의원들의 추궁이 계속되자 엄 총재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장태완 민주당 대구지부장과 김중권 최고위원도 14, 15일 한국 델파이측으로부터 25일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에 대한 만기 연장 요청을 받고 엄 총재와 이 문제를 협의,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델파이측과 김 최고위원은 18일 오전 엄 총재와 다시 만나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측은 당초 델파이가 대우와 공동운명체라며 완강하던 산은측의 태도에 다소간의 변화의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