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제위기, 여야 정국 정상화 탐색

검찰 지도부에 대한 탄핵안처리 무산으로 팽팽히 맞서오던 정국에 대화 기류가 일고 있다. 무엇보다 한나라당이 민주당 측의 대화 제의에 응하는 등 국회 보이콧 당론에 변화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양측은 22일 총무간 전화접촉을 통해 절충점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한나라당이 정국 해소 쪽으로 태도변화를 보이게 된 것은 경제난과 맞물려 파행 정국에 쏠리는 비난 여론에 부담을 느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오는 24일로 합의됐던 추가 공적자금 조성과 관련된 국회동의안 처리건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동의안 처리를 정치적 현안과 연계, 무작정 지연시킬 경우 자칫 "야당이 경제난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비난에 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부담이었다.

물론 그동안 탄핵안 정국을 통해 상당한 성과를 얻었으며 정국 주도권을 장악할 수있다는 자체 판단도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당직자는 "언론과 국민들 대다수가 여권에 대해 혹독하게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론의 향방을 미뤄 짐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 한나라당은 이번주 초부터 각종 회의를 통해 대여 전략논의를 거듭해 왔다. 골격은 이달 말까지는 국회에 등원해야 한다는 쪽으로 다수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창화 총무가 "공적자금 동의안 처리건은 24일로 잠정 합의돼 있으나 재정경제부 등에 확인해 본 결과 이달말까지만 처리하면 된다"고 밝힌 데서도 엿보인다.

이에 따라 대통령 사과 등 대여 요구사항에 타협점을 모색할 수 있다는 쪽이다. 국회의장의 경우 사퇴 요구 대신에 사과와 함께 단독 국회나 날치기 등을 거부하겠다는 약속을 하면 된다는 것 등이다.

나아가 여당과 타협점 모색에 실패하더라도 한나라당은 이회창 총재의 기자 회견 등을 통해 등원을 전격 선언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원내 제1당으로서 경제 위기에 대해 정치적인 쟁점과 분리, 대승적인 차원에서 공조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대국민 이미지를 제고시키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민주당 역시 최고위원을 비롯 중진들을 총동원한 가운데 한나라당측과 연일 물밑 접촉, 정국정상화를 모색중이다. 집권 여당으로서 경제난 심화에 따른 비난 여론에 더욱 부담감을 갖지 않을 수 없는 처지인 데다 국회 파행을 초래한 최근의 사태가 여당 측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민주당은 당 차원의 대국민 사과와 검찰 지도부 경질 방안 등을 거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