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 취업정보 센터 김기동(43)씨는 요즘 우울하다. 졸업생들이 원하는 직장을 구할 수 없는 것이 그 이유의 하나. 4년 동안 큰 돈 들여 학교 다닌 결과가 기껏 실직자라니… 그러나 그를 우울하게 하는 것은 그것만이 아니다. 지방대학 출신이라서?
"지방대학 출신 중에도 좋은 직장에 취직하는 졸업생이 많습니다. 또 지방대 출신이어서 유리한 점도 있고요. 본사가 서울에 있더라도 대구·경북의 지사엔 이 지역 출신 학생들이 훨씬 유리하지 않겠습니까? 문제는 오직 개인의 경쟁력입니다"."막연히 취직을 해야지 욕심만 낼 뿐 정작 제대로 준비는 않는 학생이 많습니다"… 취직 하겠다고 나선 학생들의 이력을 살피던 그의 얼굴이 대뜸 일그러진다. 학점이 3.0에도 못 미치는 학생, 컴퓨터 컴퓨터 노래를 불렀더니 고작 워드 프로세서 정도… 외국어 능력 시험 한번 안 친 학생도 수두룩하다.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에겐 특별한 당부를 했다. "기업에서 원하는 기술을 당장 가질 수 없는 대신, 외국어 능력과 도전정신을 갖춰야 합니다. 해외 배낭여행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돈 들여 어학연수나 장기 유학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닙니다. 기업들이 원하는 건 장기체류 경험이 아니라, 낯선 곳으로 떠날 용기이니까요".
무조건 유명 대기업만 선호하지 말 것도 충고했다. 월급이 좀 적다거나 규모가 작은 것은 문제가 아니라고 했다. "세상이 변하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이 수습사원 보다는 다른 회사의 우수한 경력 사원에 눈을 돌리는 것에서 시대 변화를 읽어야 합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