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회동과 당정개편

지난 2일 김대중 대통령과 민주당 최고위원들의 청와대 회의는 김 대통령의 시국 수습책의 방향을 어느정도 가늠할 수 있게 했다. 대변인의 브리핑과 당 안팎에서 흘러나온 얘기를 종합하면 서영훈 대표의 거취에서부터 당 운영방식, 국정쇄신책에 이르기까지 당정 개편의 폭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 여기저기 감지되기 때문이다.

특히 4일 초선의원 14명으로 구성된 총재특보단이 김 대통령에게 "국민들의 공감을 얻을 만큼 당정개편의 폭이 커야 한다"는 취지로 강도높은 쇄신책을 건의, 국정전반의 변화 가능성을 높게 하고 있다.

◇서영훈 대표의 거취=서 대표와 김 대통령이 2일 최고위원회의 직전 독대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서 대표의 거취여부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동안 이른바 "여소야대 상황에서 누가 대표가 되든 한계를 지닐 수 밖에 없다"는 대안부재론은 그의 유임을 정당화시키는 분위기를 형성했다. 그러나 서 대표가 대통령과의 독대에서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도부의 정국주도 전략 부재와 책임의식 결여" 지적이 다시 힘을 얻었기 때문이다.

김 대통령이 참석한 최고위원회의에서 "인물 교체로 민심 수습을 위한 분위기 쇄신이 필요하다" "국정위기에 당정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난이 주류를 이뤘다는 점도 대표 교체 가능성을 높히고 있다.

◇당 운영 시스템=당을 최고위원 중심 체제로 바꿔야 한다고 건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유명무실해진 최고위원회의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당직 인사 권한조차 없는 최고위원회의를 실권화시켜 당의 자율성을 넓히는 대신 김 대통령의 집권 후반기 국정운영에 부담을 덜어주자는 취지로 보인다. 또 일부 실세(동교동계)들의 독주로 인한 대다수 의원들의 소외감을 덜어주자는 의미도 있다.

박준영 청와대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역할·기능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당 운영시스템의 대폭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각을 포함한 국정쇄신책=최고위원들은 청와대 회의에서 "경제팀 일부를 포함해 과감한 개각을 건의했다"는 후문이다.

이와 관련, 서 대표는 3일 "여권내 진용개편도 거론됐지만 지역편중 인사의 시정 필요성도 제기됐다"고 밝혀 개각이 단행될 경우 인사편중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이뤄질 가능성을 높게 하고 있다.

또 일부 최고위원들은 정국이 자주 파행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 중재역할을 할 정무장관제를 도입해 "당정은 물론 여야관계를 원활하게 풀도록 시스템이 정비돼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석비서관 가운데 정무수석의 교체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정무장관제 신설을 거들고 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