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잇단 흥행대박 '메리 뉴 밀레니엄'

올해도 한국영화는 파란불이 켜졌다.

흥행과 해외수출, 제작편수, 해외영화제 진출 등에서 고른 성과를 얻으며 호황을 누렸다.

올해 60여 편의 영화를 제작한 한국영화는 지난 99년에 이어 두 해 연거푸 30%대를 웃돈 한국영화 시장점유율을 보였다. 지난해 '쉬리'의 흥행 돌풍으로 35·8%를 기록한 한국영화 시장 점유율이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20%에 머물러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그러나 하반기 '공동경비구역 JSA'가 개봉되면서 단박에 32.9%(12월 3일 기준)로 뛰어 올랐다. 이어 나온 '단적비연수''리베라 메' 등 45억 원 가량의 제작비가 투입된 한국형 블록버스터들의 약진도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데 한 몫 했다.

제작비의 상승은 한국영화 제작 시스템의 발전과 시장 규모를 확대시키는데 공을 세웠으나 '할리우드 콤플렉스'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돈잔치'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볼거리에 치중하다 보니 드라마가 약해지고, 흥행성에 집착하다 작품성을 놓치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올해는 한국영화의 '아시아 시장 공략'이 두드러진 해다. 지난 12일 영화진흥위원회가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한국영화 수출액은 698만3천 달러. 지난해 303만5천 달러의 배나 되는 수치. 지난해 11개국에 비해 무려 24개국에 팔려나가 수출국 다변화도 어느정도 이뤘다.

이와 함께 '춘향뎐'의 제53회 칸영화제 본선경쟁부문 출품 등 해외영화제에 374회나 출품되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해 150회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난 것.

일본대중문화 3차 개방조치로 일본영화가 대거 쏟아져 들어온 것도 예년과 다른 충무로 풍속도의 하나. 지난해 불과 4편에 불과했던 일본영화가 올해는 23편으로 늘어나 전년에 비해 2배 이상 뛰어오른 7.1%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또 신인감독의 활약도 두드러져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의 류승완 감독, '동감'의 김정권 감독 등의 '발굴'은 큰 성과로 꼽히고 있다.

올해 최고 흥행작은 '공동경비구역 JSA'(서울기준 220만명)가 차지했으며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인 '미션 임파서블2'(113만명), '글래디에이터'(112만7천명)는 2, 3위로 뒤를 이었다.

김중기기자 filmton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