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완·급 기류 엇갈려

청와대내에 내각개편의 시기문제를 놓고 완·급의 두 기류가 엇갈리고 있다.

이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내년초 발표할 국정개혁 구상이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인 동시에 개각 시점을 놓고 여러 방안을 숙고중임을 의미하는것이기도 하다.

먼저 내년 2월 4대 개혁의 마무리 시점과 김 대통령의 취임 3주년에 맞춰 개각을 해도 늦지 않다는 '2월 개각론'이 있다.

현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금융·공공·노사 부문의 개혁이 지난 8월 출범한 내각의 책임하에 추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결과도 나오기 전에 4개월여만에 팀을 바꾼다는 것은 개혁을 중도에 포기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주장이다.

또한 내각 개편은 정치권의 정비와도 맞물려 대(對) 자민련, 대(對) 한나라당관계가 새롭게 정립된 뒤 개편이 검토돼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도 이런 주장의 한 배경이다.

여권의 고위 관계자는 "지금 경제팀을 바꾼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면서 "분위기 때문에 내각을 자꾸 흔드는 것은 국정운영에 전혀 도움이 안된다"며 조기 개각불가론을 피력했다.

그러나 이같은 견해에 대해 "지금의 민심과 경제상황에 대한 안일한 판단에서 나온 생각"이라며 1월 초, 늦어도 중순까지는 개각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이들은 김 대통령의 국정개혁 구상 발표는 그 시점에서 당정의 면모를 다함께 일신, 새롭게 국정운영을 시작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기 위한 계기가 돼야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번 당 대표 지명과 당직 인선에서 나타난 김 대통령의 뜻은 '변화'이며 이것이 국정쇄신의 '키 워드'가 될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특히 곳곳의 암초에 부딪혀 4대부문 개혁이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추진력과 돌파력을 지닌 팀을 새롭게 구성해 개혁을 더욱 강력하게 밀어붙여야 한다는 것도 조지개각론의 논거가 되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1월 중순부터 각 부처의 연두 업무보고를 시작하도록 부처에 준비를 지시했다"면서 "한 해의 청사진을 펼쳐 보이는 연두보고를 물러날 장관이 하도록 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