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족쇄'방지와 풀기는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국민 20명당 1명이 신용불량자=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말 현재 신용불량자(법인 포함)는 99년말에 비해 13만명 이상 늘어난 238만2천717명. 국민 20명당 1명, 경제활동인구 10명당 1명꼴로 사상 최고치다.

문제는 이 수치가 계속 늘 것이란 예측. 우선 신용불량자 등록기준이 엄격해졌다. 연체 3~6개월 후에야 신용불량자로 등록되는 데다 지난 연말 경제상황이 크게 악화한 것까지 감안하면 앞으로 몇달동안 이 수치는 급증할 전망이다.

빚을 내 주식에 투자한 이들이 적잖으므로 올해 증시가 지난해처럼 침체할 경우 신용불량자는 더욱 속출하게 된다. 한국은행은 증시 호황기였던 99년 6월말부터 1년동안 가계대출잔액이 23%나 급증했으며 이 중 상당액이 증시에 투자됐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대출, 신용카드 발급 등에 제한=신용불량자로 등록되면 일단 금융기관과의 모든 금융거래가 금지된다고 보면 된다.

신규대출이 금지 또는 제한되고 보증자격도 인정받기 어렵다. 신용카드 발급 또는 사용이 금지되고 당좌거래 신규개설 및 기존 거래가 제한 또는 해지된다. 기존 대출을 갚으라는 채근에 시달릴 공산도 크다.

다만 이같은 제재는 각 금융기관이 신용불량자의 신용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적절하게 정하게 되므로 일률적으로 어떤 제재를 받는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한편 주채무자의 채무연체를 이유로 보증인(서울보증보험에 가입한 보증인은 제외)이 신용불량자로 등록되지는 않는다. 보증채무에 대해선 아직 금융기관간 정보교환이 되지 않아 보증을 선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만 제한을 받는다. 은행연합회 관계자는 그러나 올해 2/4분기부터 보증채무도 집중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혀 이에 대한 제재조치가 마련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신용정보사에서 확인할 수 있어=한국신용정보(www.nice.co.kr), 한국신용평가정보(www.kisinfo.com) 등에 회원으로 가입하면 자신의 신용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동통신요금 관련 신용정보는 정보통신진흥협회(www.kai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실 직시하고 금융기관과 의논하는 게 지름길=일단 신용불량자라는 딱지를 달면 그 소용돌이에서 헤쳐나오기 힘들다. 돈이 있어 갚을 경우 신용불량이 해제되지만 기록은 일정기간 이상 남기 때문에 어려움은 당분간 계속된다.

빚을 갚기 어려우면 금융기관과 성실히 의논하는 게 최선이다. 협상에 따라 분할결제 같은 방법이 생길 수도 있다. 금융기관과의 신뢰구축이 중요하다는 얘기다.어떻게든 수습해보려고 아무 돈이나 마구 끌어쓰는 것은 금물이다. 빚을 갚기는커녕 규모만 키우는 일이 되기 십상이다. 차라리 일찌감치 신용불량자가 된 뒤 후일을 도모하는 게 낫다.

금융거래의 '무서움'을 가볍게 여기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젊은 층 일부에선 신용불량자가 되더라도 은행 거래만 안 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적잖지만 이는 오산임을 잘 인식해야 한다.

이상훈기자 azzza@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