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과 김종필 자민련 명예총재간의 2일 만찬회동은 DJP공조가 지난 1월18일 복원 이후 더욱 확고하게 자리잡았음을 과시하면서 이에 입각한 공동정부 후반기 국정운영방향을 결정한 자리였다는 점에서 향후 정국흐름을 예견케 하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했다.
두 사람은 이 자리에서 △각종 선거에서 공조 △각종 개혁법안의 조기 입법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서울답방 실현에 공동노력 등에 합의함으로써 그동안 미진했던 정책 및 노선에서의 공조가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는 평가다.
◇대북정책 공조=지금까지 양당의 노선 차이로 보아 이번 회동에서 가장 큰 성과를 거둔 부문이라고 할 수 있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JP는 그동안 "찬성도 반대도 아니다"고 말해 왔다. 그러나 이번 회동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에 대해 명시적으로 공동노력한다는 표현을 사용, 큰 태도변화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청와대측은 "보수 원조를 자처하고 있는 JP가 김 위원장의 답방에 협력키로 함으로써 이를 반대하고 있는 보수세력의 목소리는 낮아질 것"이라며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앞선 분위기 조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개혁입법 가운데 국가보안법 개정 문제는 "두 사람이 이심전심으로 논의의제에서 제외"(변웅전 자민련 대변인)해 JP가 대북문제에 대해서는 아직도 제한된 공조라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음을 보여 줬다. 이는 보수색이 탈색될 경우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는 JP의 정치적 한계를 나타내는 대목이기도 하다.
◇선거공조=두 사람은 공동정부를 출범시킨 상생공득(相生共得)의 정신으로 앞으로 실시하는 각종 선거에서의 확고한 공조를 다짐했다. 이는 짧게는 다음달 26일 실시되는 지방 재.보선과 내년 상반기의 4대 지방선거, 길게는 12월에 있을 대통령선거를 겨냥하는 것으로 보이나 대선에서의 공조에 대해서는 청와대와 자민련은 서로 다른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청와대측은 "내년 대선까지 선거공조가 이뤄질 것"이란 의미로 보고 있는 반면 자민련은 "대선에서의 공조를 논의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반응이다.
어쨋든 양당이 각종 선거에서 공조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양당간 연합공천 작업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정계개편=두 사람은 이날 발표된 공동발표문에 "국정안정과 생산적 국회운영"을 제일 첫머리에 넣었다. 이는 원론적인 표현이긴 하지만 해석하기에 따라 민주당, 자민련, 민국당 3당간 정책연합을 통해 원내 과반석 확보의 필요성과 이를 성사시키겠다는 의지를 시사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같은 분석의 연장선상에서 이날 회동에서는 '3당 정책연합', '신(新) 3김 연합 '등 범여권 확대와 이를 통한 정국주도권 확보를 위한 깊숙한 논의가 이뤄졌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돌고 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