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학교원 등에 국한된 외국인 공무원에 대한 고용이 공권력 행사나 정책결정 직위가 아닌 연구·교육·기술 분야로 확대된다.
행정자치부는 오는 27일 이런 내용 등을 뼈대로 한 '국가공무원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올 하반기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개정안은 이와 함께 공무원이 민간부문의 경영기법을 습득하고 자신의 전문능력을 기업활동에 활용하기 위해 민간기업에 취업할 경우 3년에 한해 휴직할 수 있는 고용휴직제를 도입키로 했다.
또 인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채용시험의 공고 및 경쟁을 의무화하고 조기퇴직수당 지급대상이 별정직·고용직 공무원에게까지 확대된다.
신분상 불이익을 줄이기 위해 파면·해임 또는 정직 등 중징계 의결이 진행중인 경우에만 공무원을 직위해제토록 하고 별정직 공무원에게도 교육훈련의 기회를 주기로 했다.
이밖에 행자부는 현재 '전문지식 요구 업무'로 한정된 계약직공무원의 개념을 '계약에 의한 업무'로 확대, 정부의 인력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축의금' 논란 최민희, "다시 노무현 정신으로 무장해야…깨시민!"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