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리집 주치의-노안교정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남녀를 불문하고 40대 후반부터 수정체의 조절력이 떨어진다. 책이나 신문을 조금 멀리하면 잘 보이고, 책을 읽다가 먼 곳을 보았을 때 희미하게 보이고, 가까이 있는 것을 보거나 근거리 작업을 하면 눈이 빨리 피로해지고 글자가 이중으로 보이는 것은 노안이 시작됐다는 신호다.

노안(老眼)은 수정체의 탄력이 떨어지거나, 수정체의 두께를 조절하는 모양 근육의 힘이 약해져 가까이 있는 것을 볼 때 수정체가 제대로 조절되지 않아서 생긴다. 수정체의 조절 능력은 사람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나이가 들면서 그 능력이 크게 떨어진다. 청소년기에 10디옵터까지 조절할 수 있고, 점차 조절 능력이 떨어져 40대에는 5디옵터, 50대에는 2.5디옵터, 60대에 이르면 1디옵터에 불과하게 된다.

근시인 사람은 노안이 늦게 찾아 오기는 하지만, 일단 노안이 되면 이중의 불편을 겪어야 한다. 먼 곳을 볼 때는 오목렌즈를, 책이나 신문을 볼 때는 돋보기를 사용해야 한다.

이런 사람들은 근시와 노안을 동시에 교정 할 수 있는 다초점 콘택트렌즈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이 렌즈는 중심부와 주변부의 굴절률이 달라, 렌즈 하나가 오목렌즈 및 볼록렌즈의 두가지 역할을 하는 시력 교정 장치이다. 렌즈 중앙부위는 근시를 교정할수 있도록 오목렌즈 형태이며, 주변은 약간 평평해 각막과 어느 정도의 간격이 생기도록 고안돼 있다. 각막과 렌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눈물이 괴게 마련인데 이 눈물이 볼록렌즈 역할을 한다. 책이나 신문을 볼 때는 대개 눈이 아랫쪽으로 향하게 되는데 이 때 시선이 눈물로 만들어진 볼록렌즈를 통과, 노안으로도 가까운 것을 잘 볼수 있게 하는 것이 이 렌즈의 원리이다.

이 렌즈는 난시를 치료하는 기능도 갖고 있으며, 일반 렌즈보다 착용이 편하고 관리가 쉽다. 소프트렌즈보다 산소 투과율이 높고 단백질 등의 이 물질이 렌즈에 잘 달라 붙지 않기 때문에 자주 소독하거나 씻지 않아도 된다. 또 렌즈의 경계면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돼 있어 착용감이 좋고 렌즈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

심창보(심앤김안과원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