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든 멀찌감치 통한다는길 옆
주막
그
수없이 입술이 닿은
이 빠진 낡은 사발에
나도 입술을 댄다
여기
대대로 슬픈 路程(노정)이 집산하고
알맞은 자리, 저만치
威儀(위의) 있는 송덕비 위로
맵고도 쓴 시간이 흘러가고….
세월이여!
소금보다 짜다는
인생을 안주하여
주막을 나서면,
노을 비낀 길은
가없이 길고 가늘더라
-김용호 '주막에서'
인생을 길에 비유한 것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학의 한 전형이다. 이승에서의 삶을 여정 중의 주막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전생에서 후생으로 이어지는 중에 잠시 머물다가는 이생,
주막에서 이 빠진 낡은 사발에 입술을 대는 것처럼 나도 누군가가 살았던 그 삶을 고스란히 걸어가는 것인지도 모른다. 내 삶에서 문득 아버지의 인생을 느끼는 것도 그러하다. 이태백은 술 마시는 자의 이름만 청사에 길이 남는다고 한 바 있지만 인생을 주막에 비유한 시인의 상상력이 통쾌하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국힘 "李정부, 전 국민 현금 살포 위해 국방예산 905억 삭감"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
영주역 광장, 납공장 용광로보다 더 뜨거웠다…3차 궐기대회 2천여명 모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