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새도 날아와 우짖지 않고,구름도 떠가곤 오지 않는다.
인적 끊인 곳
홀로 앉은 가을산의 어스름.
호오이 호오이 소리 높여
나는 누구도 없이 불러 보나,
울림은 헛되이 빈 골 골을 되돌아 올 뿐,
산그늘 길게 늘이며
붉게 해는 넘어가고
황혼과 함께 이어 별과 밤은 오리니,
삶은 오직 갈수록 쓸쓸하고
사랑은 한갓 괴로울 뿐.
그대 위하여 나는 이제도 이
긴 밤과 슬픔을 갖거니와,
이 밤을 그대는, 나도 모르는
어느 마을에서 쉬느뇨?
박두진 '道峯'
도봉산 등산을 하면서 시인이 1930년대에 쓴 시로 알려지고 있다. 삶에 대한 기다림과 쓸쓸함을 드러낸, 정신의 한 정점을 보여주는 시이다. 30년대라는 시대 상황은 종종 이 시를 조국 해방과 연결해 읽히게도 한다.
그러나 이런 역사적 읽기의 방법을 벗어나 실존적 존재의 고민에 대한 시로 이해해도 좋다. '삶은 오직 갈수록 쓸쓸하고/사랑은 한갓 괴로울 뿐'이라는 구절은 가을산 어스름에 앉은 누구에게나 한번쯤 떠오르는 진한 인생의 페이소스이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