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1일=미국 뉴욕 세계무역센터 및 워싱턴 국방부청사에 피랍 미국 여객기 3대 충돌, 또 다른 1대의 피랍 여객기 펜실베이니아에 추락.
▲9.12=조지 W 부시 미 대통령, 테러공격을 '전쟁 행위'로 규정.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테러공격 비난 결의 만장일치로 채택.
▲9.14=미 상·하원, 테러공격에 대응한 무력 사용 승인.
▲9.15=부시, '미국은 전쟁중'이라고 선언하고 오사마 빈 라덴을 주요 용의자로 거명.
▲9.16=빈 라덴, 미 테러공격 관련 혐의 부인.
▲9.17=뉴욕 증권거래소 재개장.
▲9.20=아프간 탈레반 성직자회의, 빈 라덴 자진 출국 권고.
부시, 의회연설에서 탈레반에 빈 라덴 인도 요구.
▲9.21=탈레반, 빈 라덴 인도 거부.
미 항모 키티호크, 일본 요코스카항 출항.
▲9.22=아랍에미리트, 탈레반과 단교 발표.
미국, 인도·파키스탄에 대한 제재 해제.
▲9.24=부시, 빈 라덴 관련 자산 동결 선언.
▲9.25=사우디아라비아 탈레반과 단교 발표.
▲10·2=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집단자위권 발동.
▲10.6=부시, 탈레반에 군사행동 최후통첩. 럼즈펠드 중동순방 끝내고 미군수송기 우즈베키스탄에 배치. 유엔 총회, 대테러 결의안 논란끝에 채택 불발.
▲10.7=미·영, 아프간 공격 개시. 7일 오후 8시57분부터 8일 새벽까지 3차례에 걸쳐 폭격기 등을 동원해 아프간 주요지역 공습
▲10.8=미군 단독으로 이틀째 공격 계속. 탈레반 공군기지 90% 파괴되고 탈레반 공군사령관 사망했다고 IRNA통신 보도. 미국과 유럽, 아시아 등 세계 각지에서 아프간 공격 반대 시위. 유럽연합(EU) 전체 이사회 탈레반 이후 과도정부 수립방안논의. 미 연방수사국(FBI), 탄저병 발생 테러 관련 여부 수사 착수.
▲10.9=미 3일째 야간공격 계속.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 아프간 제공권 장악 선언. 영·미 주요 언론, 지상군 투입 임박 보도. 나토 의원총회, 대테러전쟁 지지 결의문 채택. 탈레반 이슬람 국가에 대미 협상 압력 촉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