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승규의 포스트시즌 읽기

한국시리즈 1차전은 기싸움과 미세한 두뇌플레이에서 승부가 갈렸다.삼성 마해영은 1회 쓰리볼에서 방망이를 힘차게 휘둘렀다. 이전의 삼성야구라면 기다렸을 상황이었다. 이것은 사소한 것 같지만 상대투수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다. 벤치의 지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마해영의 적극적인 타격은 두산의 투수들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타자가 과감하고도 자신있게 타격을 하면 상대투수는 약해지기 마련이다. 이후 두산의 선발 콜은 6개의 볼넷을 허용하며 힘든 경기를 자초했다.

8회 삼성 김한수의 좌익선상 2루타도 두산으로 보면 아주 아쉬운 대목. 두산 투수 이경필이 몸쪽 역회전볼을 주로 던지는 투수임을 고려할때 두산 3루수 김동주는 3루 선상에 더 붙어 수비를 했어야 했다. 특히 경기후반 실점과 연결되는 장타를 허용않는 수비원칙으로 봐서도 그러하다.

이어 결승타를 친 삼성 김태균의 타석때도 이경필은 실책성 투구를 했다. 투스트라이크에서 유인구를 2개 정도는 던져야 했으나 성급하게 승부를 했고 그것도 김태균이 가장 강한 몸쪽 직구로 승부를 했다.

삼성은 경기초반 많은 득점찬스에서 쉽게 승부를 가르지 못한 아쉬움은 있으나 장기간의 휴식에도 선수들이 빨리 경기감각을 회복했고 수비와 투·타의 힘에서 두산을 앞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