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釜山자유港'을 활용하자

지방을 살리자-부산항이 조만간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돼 부산.경남은 물론 대구.경북지역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경상도권역' 경제활성화에 고무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중 대통령은 30일 해운대에서 열린 '국제조선해양대제전' 치사에서 "금년 중으로 부산항을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해 부산항이 조립.가공.전시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유라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하는 종합물류 거점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언급, 부산항을 동북아 물류 중심센터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을 굳혔다.

부산 자유무역항 지정은 최근 국제물류가 대형 항만 중심으로 급속하게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항만산업을 국가경제 성장엔진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이라그 당위성은 말할 나위 없다. 이미 정부도 부산, 인천, 광양항을 관세자유지역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입장을 발표했으므로 부산항의 관세자유무역지역 지정은 이러한 물류산업 개편의 첫단추가 될 것이다. 관세자유지역은 관세법 적용을 받지 않는 경제활동 특구로 이 지역에선 화물 반출입이나 중계시 통관절차가 생략되고 관세 및 부가가치세 등 제세 공과금이 면제돼 화물 흐름이 아주 원활해 진다.

따라서 대구 경북지역은 부산항의 도약에 따른 경제적 인센티브를 극대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구 섬유업과 경북의 전자산업은 중계무역의 발달로 인한 틈새시장 개척에 나서 수출 전선을 재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부산항이 창출하는 부가가치를 배후 거점지역에서 최대한 흡수하기 위해서는 관련 산업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 전국적으로 집중되는 물량에 대비, 그 중간 거점으로 검단동 물류 단지가 제기능을 할 수있도록 재투자돼야 한다. 또 2006년 완공 목표로 현재 공사 진척률 5%에 불과한 대구~부산간 고속도로 공사를 앞당기는 방안도 시급히 검토돼야 한다. 부산항 관세자유지역 지정에 따른 산업연관효과를 최대화하는 것은 이제 지역민들의 몫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