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5·18 민주묘지를 찾았다가 시민단체들의 저지로 참배가 무산된 가운데 "반드시 다시 찾아올 것"이라고 밝혔다.
3일 한덕수 캠프 김소영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5·18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의 헌신에 진심 어린 애도와 존경을 표하려 했던 한 후보자의 뜻이 온전히 전달되지 못한 현실이 참으로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비록 이번에는 참배가 좌절되었지만, 5·18 영령들을 기리고 광주의 아픔을 함께 나누기 위해 반드시 다시 찾아올 것"이라고 전했다.
또 "한 후보자가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우리는 서로 사랑해야 합니다'라고 간절하게 외쳤고, 그 모습을 전 국민이 화면을 통해 생생히 지켜보았다"며 "현장의 일부 단체는 끝내 귀를 닫고 외면했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5·18 정신은 정파와 세대를 넘어선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숭고한 뿌리이며, 이를 계승하고 기리는 일은 모든 국민이 함께 짊어져야 할 사명"이라며 "특정 정파나 세력의 전유물이 될 수 없고, 되어서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후보자는 어떠한 방해와 압박에도 흔들리지 않고, 국민통합을 향한 용기 있는 행보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분열의 벽을 넘어, 국민통합의 미래로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전날 한 전 총리는 대선 출마 선언 직후 광주를 찾아 한5.18 민주묘지를 참배에 나섰지만, 시민 단체의 반발로 무산됐다.
이들 단체는 "내란 동조 세력 한덕수는 물러가라", "5·18 참배 자격 없다"는 등 목소리를 높였고, 민주의 문으로 다가오는 한 전 총리를 경호하는 인력과 밀고 당기는 경미한 몸싸움을 벌였다.
한 전 총리는 지지자들에게 둘러싸인 채 10여분간 민주묘지로 들어가지 못했고, 이에 헌화·분향 대신 민주의 문 앞에서 고개를 숙이며 참배를 대신했다.
묵념 직후에도 시민 단체의 반발이 사그라지지 않자 발걸음을 돌린 한 전 총리는 "여러분 조용히 해주세요"를 여러 차례 외쳤고, "저도 호남 사람입니다. 우리는 통합돼야 하며 서로를 사랑해야 합니다"고 말하며 제자리에 있다가 발길을 돌렸다.
그는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조만간 꼭 다시 오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