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설명회 불참 대학은...

올해 정시모집에서는 작년에 비해 전형 요강이 대학별로 매우 다양하고 복잡해졌다. 수험생들은 자신의 점수대에 맞는 여러 대학들의 요강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설명회에 참가하지 않은 중요한 대학들의 전형 요강을 살펴본다.

▲서울대=7개 계열 16개 모집단위에서 2단계로 전형을 해 정원의 70%인 2천730명을 선발한다. 논술고사가 폐지된 대신 구술 및 심층면접이 도입됐다. 지원자격은 수능 성적 1등급 및 2등급자 가운데 2개 영역 이상에서 만점을 받거나 최상위 3% 이내인 수험생이다.

1단계에서는 수능 3, 4개 영역의 합산 점수와 봉사활동.추천서.자기소개서.수상경력 등 비교과 영역 성적을 토대로 정원의 2배수(미대는 3배수)를 뽑는다. 2단계에서는 학교생활기록부상의 교과 성적 60%(자연대.공대 50%), 비교과 성적 25%, 심층면접.구술고사 15%(자연대.공대 25%) 등을 반영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영역별 점수는 언어.수리.외국어 영역은 원점수를 반영하고 사탐.과탐은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산출한 표준점수를, 제2외국어영역은 표준점수의 백분위 점수를 활용해 역시 서울대가 자체적으로 산출한 점수를 반영한다. 내신은 60등급으로 세분화된다.

▲서강대=전체 인원의 62%인 1천91명을 모집한다. 1단계로 수능 4개 영역의 성적을 합산, 모집인원의 250%를 걸러낸 뒤 2단계에서 수능 영역별 점수로 모집인원의 20%를 뽑는다. 3단계에서 나머지 인원을 수능 성적과 학생부 성적, 논술을 합산해 합격자를 결정한다.

▲성균관대=정원의 70%인 2천834명을 수능(57%), 학생부(40%), 논술(3%) 등을 일괄합산해 선발한다. 정시에는 심층면접을 실시하지 않으며 논술고사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시험 시간과 양을 120분, 1천500자로 늘렸다.

▲한국외대='나'군과 '다'군(영어학부, 중국어과, 일본어과, 법학과, 상경계열)으로 분할 모집한다. '나'군에서는 학생부(30%)와 수능(60%) 성적 외에 논술고사(10%)를 실시하지만 '나'군 학과에서는 학생부(30%)와 수능(70%)으로만 합격자를 가린다.

▲지역 대학=수시모집에서 70%를 선발한 포항공대는 정시에서 나머지를 모집한다. 지원자격은 수능 1등급이며, 수리.과학탐구에 150% 가중치를 준 수능 성적(90%)과 서류전형(10%)으로 선발한다. 금오공대는 수능(60%)과 학생부(40%)를 반영하되 수능 성적은 수리와 외국어에 180%, 언어와 사탐.과탐에 130%의 가중치를 둔다. 정시모집만 하는 대구교대는 학생부(45%)와 수능(55%)을 일괄합산하며 예.체능계는 교차지원할 수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